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거운 동물이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놓여있지만 차가운 우리 모퉁이와 따뜻한 태양램프가 내리쬐지만 높은 바위 가운데 어느
쪽
을 택할까. 미국 테네시대의 비교행동학자인 고든 부르크하르트 교수는 후자의 경우가 이구아나의 입장에서 더 즐거울 뿐만 아니라 적응에도 이로운 행동이라고 해석했다. 이구아나 같은 변온동물은 체온을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계통을 대표한다 그러나 고리와 곁가지를 가진 화합물 등은 주목하는 부분에 따라 어느
쪽
으로든 분류될 수 있다개별적으로 흩어져 있는 림프 세포망 조직 고립 림프 여포(濾胞)라고도 한다 주로 위 · 장 등 소화관이나 호흡기도의 점막고유층에 있고 다수의 림프구가 밀집해 있다그 내부를 ... ...
ISS 과학실험 최종 리허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분위기를 주도했다. 볼코프는 우리우주인이 타고 갈 소유즈의 선장이다.회견장 맨 오른
쪽
에 앉은 고씨는 미국 우주인 샌드라 마그누스의 소개로 말문을 열었다. 그는 “우리나라는 우주개발 경험이 부족하지만 실험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칠 것”이라며 “임무가 끝난 뒤에도 달탐사 같은 장기적인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있으나 근년에 플라스틱으로서의 용도가 급증하고 있다겨울철에서 봄철에 걸쳐 남
쪽
지평선 가까이 보이는 별자리 1872년 아르헨티나에서 남천(南天)을 관측한 B A 굴드가 나침반자리를 제창, 1922년 국제천문연합회에서 채용되었다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8h 50m, 적위(赤緯) -28°이다용융(溶融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물줄기를 바꿨다. 대항해시대인 15~17세기 초 유럽은 금을 갖고픈 욕망에 들썩거렸다. 동
쪽
육로는 이슬람 국가들이 막고 있었기에 포르투갈이나 스페인 같은 유럽 국가는 뱃길을 개척해 아메리카대륙으로 건너갔다. 이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침략했고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을 정복했다.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태양 품에 안겨 바깥
쪽
대기와 마찰을 일으키고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나선을 그리며 안
쪽
으로 빨려들 것이다.미국 아이오와주립대 리 앤 윌슨 박사팀은 2000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태양이 적색거성이 돼 크기가 커지면 지구가 증발해 최후를 맞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즉 태양에서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도체 두 개를 붙여 만든 회로에 직류전류를 흘리면 한
쪽
도체는 가열되는 반면 다른 한
쪽
은 냉각되는 현상이다. 칩 뒷면에 펠티에효과가 나타나는 실리콘과 금속으로 이뤄진 전극을 붙여 전류를 흘리면 칩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반도체칩의 집적기술이 제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칩의 열을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봄이 오면 깨어나고, 여름에 관공을 만든 뒤 가을까지 바람이 불고 습한 시기를 골라 아래
쪽
으로 나 있는 구멍을 통해 포자를 날린다. 다년생버섯은 거대한 나무가 먹을 것을 제공하는 한 계속 살아간다. 보통 20~30년을 사는 그들의 생명력이 놀랍다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단백질은 음전기(-)를 띤다. 손을 잡을 때도 한
쪽
이 손바닥을 위로 보이게 하면 다른 한
쪽
은 손바닥을 아래로 향해야 맞잡을 수 있듯, 생체분자도 모양과 정전기가 상보적으로 맞아야 결합할 수 있다.생체분자의 모양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그가 1985년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생물물리학 박사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모음 소리를 1초 간격으로 반복해 들려주며 특정 모음의 소리를 들려줄 때는 어느 한
쪽
통에 먹이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켰다. 그 다음 you의 ‘우’(oo)와 me의 ‘이’(ee), paw의 ‘오’(aw)와 American의 ‘아’(ah) 같은 모음 10쌍을 실험하자 모래쥐는 금세 규칙을 깨닫고 먹이가 있는 통으로 달려갔다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