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d라이브러리
"
쪽
"(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다른 영상을 보여줄 수 있어서 양안 시차를 고려한 3차원 입체 영상도 구현할 수 있다. 양
쪽
눈이 보는 화면이 다르면 평면 영상인데도 입체로 지각하기 때문에 같은 화면이라도 더 실감나게 느껴진다.휴대전화에 달린 고해상도 카메라도 유용하다. 약 600만 화소인 사람 눈에 비해 최근 나오는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쉽다. 작은 눈꺼풀의 움직임이 의외로 큰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의사가 주인공의 한
쪽
눈꺼풀을 꿰맨 이유도 눈꺼풀을 움직일 수 없어 장기적으로는 눈에 손상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혀가 폐를 보호한다?영화에서 주인공은 증세가 조금씩 호전되면서 혀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비록 완벽하게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각 중에서 주위의 암석보다 비중이 작고 소성(塑性)유동을 하기 쉬운 물질이 위
쪽
의 암층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이를 밀어올려서 생기는 반구형 지붕 모양의 구조이다 길이 또는 두께의 측정량을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눈금판에서 읽도록 만든 계기 스핀들형에서는 돌출한 스핀들의 끝을 ... ...
분자를 '성형수술'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구두제작자가 한
쪽
발 모양의 구두골(발모형)로 양
쪽
신발을 만드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원하는 거울상을 만드는 틀을 만든 뒤 원하는 거울상 이성질체만 찍어냈다. 이 연구결과는 독일 유명 화학저널 ‘응용화학’ 2003년 7월호에 실렸다.분자를 ‘요리하면’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곤충기3|장 앙리 파브르 지음|김진일 옮김|현암사|484
쪽
|1만9500원PROLOGUE“…역자가 파브르와 그의 곤충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40년도 더 되었다. 마침 30년 전엔 1975년 파브르가 학위를 받은 프랑스 몽펠리에 이공대학교로 유학하여 197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시절 우리나라의 자연과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달이 화성과 토성을 차례로 방문한다. 3월 15일 저녁 반달이 쌍둥이자리에 있는 화성의 북
쪽
약 5° 떨어진 곳까지 접근한다. 저녁 8시 쯤 천정에서 밝게 빛나는 붉은색 화성과 반달을 볼 수 있다. 3월 19일에는 달이 사자자리에 있는 토성에 약 2.5°까지 접근한다.밝기 -1등급을 자랑하던 토성은 이날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다고산 씨와 이소연 씨의 생존훈련 취재를 마친 다음날 기자는 모스크바에서 북서
쪽
으로 40km 떨어진 ‘즈뵤즈드늬 가라독’(별의 도시)에 있는 가가린우주센터를 방문했다. 지금까지 전세계 30여개 나라에서 420명이 넘는 우주인을 배출한 아곳은 ‘세계 우주인의 요람’으로 불린다. 고 씨와 이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울주 무제치늪 등이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있다. 두웅습지의 형성 원리해안사구의 뒤
쪽
에 산이 있으면 그 사이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고이면서 습지가 만들어진다. 지하수와 연결되어 있어 가뭄이 들더라도 물이 마르는 일이 거의 없다.●맹꽁이 맹꽁이는 낮에는 땅 속에 있다가 밤에 나와 먹이를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물건들이 가득 차 있는 미궁 속을 달리도록 실험을 했을 때, 처음에는 쥐들이 음식
쪽
으로 발길을 움직였으나 잠시 뒤에는 음식을 포기하고 미궁을 탐색했다고 한다. 즉 호기심이 식욕을 누를 정도로 크다는 말이다.또한 뇌에서 공간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인 해마를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쥐가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않았음에도 구토반응을 보였고 기능성핵자기공명(fMRI)으로 뇌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 왼
쪽
측두엽의 뇌섬염 앞부분(anterior insula)이 활성화됐다. 이 부분은 실제 역겨운 냄새를 맡았을 때 강하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그러나 뇌졸중으로 이 부분이 손상된 사람은 타인이 역겨워하는 장면을 봐도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