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들 한 쌍은 여름이 되어 러시아로 돌아가 새로운 가족을 만들 것이다. 실제로 2009년 이후로 어른 새와 어린 새가 동시에 찾아오고 있다. 2010년에는 어른 새 3마리와 어린 새 1마리가, 지난해에는 어른 새 5마리가 찾아왔다. 올해도 이미 한 마리가 도착했다.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은 당정섬의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이용해 구하면 2016년에는 생산가능 인구가 3,704만 명(72.9%)으로 최대치를 기록하고, 그 이후로 점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에 노령 인구의 비율은 2020년에 15.7%에서 2030년에 24.3%, 2060년에는 40.1%로, 국민의 반 가까이가 노령 인구가 될 전망입니다. 이는 철저한 대비를 하지 않으면 2016년까지는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루는 단백질의 유전자는 억제한다.분자생물학의 기틀이 마련되기 시작한 1950년대 이후로, DNA로부터 만들어지는 유전 물질 중 단백질만이 궁극적인 조절기능을 갖는다는 생각이 많았다.DNA의 염기서열은 RNA을 생산하고, RNA의 염기서열은 단백질 생산과정에서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다.이렇게 ...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정 부장은 “처음 하나로를 만들었을 때는 연구 장치 없이 원자로만 달랑 있었지만, 이후 연구 장치를 하나씩 늘려나가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됐다”고 말했다.원자로 위로 올라가자 뚜껑 없이 그대로 노출된 수조가 보였다. 원자로가 있는 수조 위에 올라가 아래를 내려다보자 원자로에서 나오는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20세기 수학의 흐름을 바꾼 힐베르트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대학에 다니면서 당시의 천재였던 헤르만 민코프스키★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이후, 힐베르트는 민코프스키와 괴팅겐 대학에서도 함께 교수로 지내며 평생의 벗으로 지냈다.헤르만 민코프스키(1864~1909)★ 러시아 태생의 독일 수학자로, 수론의 문제를 기하학 적인 방법을 사용해 푸는 기하학적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있는 세포 내 기관 단백질들이 서로 정교하게 협력하고 있다.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이후 DNA는 생명의 설계도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군림했다.하지만 60주년을 맞은 오늘날, 이런 관점은 바뀌고 있다.네오 DNA 시대에, DNA는 서로 도우며 조화롭게 생명을 유지시키는 수많은 주역의 ... ...
- 셰일가스 채취, 지진 일으킨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수압파쇄 기술을 적용한 시기와 일치한다는 것이다. 특히 오클라호마 주민들은 2010년 이후 매년 250회 이상 지진 활동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수압파쇄는 셰일암에 물과 화학물질을 주입해 지하 깊숙한 곳에 묻혀 있는 셰일가스를 채취하는 기술이다. 이 때 발생하는 폐수가 지진 활동을 ...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0m이하의 평탄한 대륙붕과 급격히 수심이 깊어지는 가파른 경사인 대륙사면, 가파른 경사 이후 다시 완만해지는 대륙대로 구성된다. 대륙변계가 영해기준선에서 200해리에 미치지 못할 경우, 200해리까지는 권리를 인정해준다. 배타적 경제수역까지는 권리를 인정해주겠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조경 계획을 맡기고, 손수 서울에서 나무를 분양 받아 심었다. 그 때가 1978년이다. 이후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잘 가꿔진 조경은 초창기보다 더욱 풍성하고 멋스러워졌다. 하지만 몇 년 공사만으로 가능했을까. 사실 비결은 시설과장의 30년 무한애정이었다. 그는 예산이 부족해 정원을 더 가꿀 수 ...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떠납니다. 도중에 조지아의 드마니시를 거쳐 인도네시아 자바까지 흘러 이주했습니다. 이후 이들 집단은 모두 사라졌지만, 그 중 아시아 집단 하나가 살아남아 따로 진화합니다. 그게 바로 호모 에렉투스입니다. 이들 역시 아시아를 떠나 전세계로 퍼져 나갑니다. 아프리카의 호모 에렉투스 역시 그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