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것처럼 수소를 비교적 싸게 얻으려면 화석연료를 또 태워야 한다.과학자들은 2000년대 이후 값이 싸면서도 이산화탄소 환원 반응을 일으킬 정도의 에너지를 지닌 물질을 찾아냈다. 바로 메탄이다. 전기원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촉매연구센터장도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메탄올(CH3OH)을 만드는 실험에 ...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끼치는 효과를 추측하는 데 유리하다. 평준화 제도에 대한 보완책을 도입한 2000년대 이후 자료는 이런 무작위성이 줄어들어 분석에서 뺐다.남녀공학이 성적 떨어져조사 결과 단성학교는 성적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는 남학생에게 더 컸다. 남학생의 경우 남녀공학에 비해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시력을 잃은 이유는 태양 흑점을 너무 열심히 관측했기 때문이 아닐까.갈릴레오 이후 흑점은 과학자들의 큰 관심 대상이 됐다. 17세기 유럽에는 흑점 기록이 상세하게 남아 있다. 이 때는 흑점의 수가 적은 기간에 해당하는데 당시 유럽은 추운 겨울을 보냈다. 특히 태양활동이 이례적으로 적었던 1645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프로그램인데 각종 사고와 함께 세상의 종말을 예언했다는 것. 웹봇이 2012년 12월 21일 이후로 분석을 거부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이 때문에 2012년 12월 21일 세계가 멸망한다는 종말론이 나왔다). 웹봇을 만든 두 프로그래머는 스스로를 ‘타임 몽크스’라 부르며 웹봇이 했다는 예언을 인터넷을 통해 ...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X선 결정학으로 알아낸 것이다.X선 결정학은 1895년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처음 발견한 이후 생물학 발전에 꾸준히 기여해왔다.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제임스 왓슨,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히는 데도 X선 결정학의 공이 컸다. 또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때로 엉뚱한 판단을 한다. 냉철하게 대선 후보를 저울질하고 투표했다고 생각했지만, 이후 5년 내내 ‘내가 왜 뽑았을까’ 생각하며 후회한 사람, 분명히 있을 것이다. 자신의 뇌가 한없이 작고 초라하게 느껴지는 이 경험은 뇌가 갖는 판단력의 한계, 즉 착각 때문에 일어난다. 나만 그런 걸까 슬슬 ... ...
- 다가오는 방학, 어떤 교재 살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책을 봤을 때는 모든 내용을 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1, 2, 5처럼 드문드문 알게 되죠. 이후에 이 책을 다시 보지 않고 다른 책을 본다면 첫 번째 책에서 놓친 내용에 대해 더 이상 알 수 없습니다. 특히 비슷한 수준의 책을 다시 볼 경우 이미 공부한 내용을 되풀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첫 ... ...
- 연세대·고려대 수시 전형, 전략적 분석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합격할 수 있는 수험생들도 연세대 수시모집에 대거 합격한다.그렇다면 고려대가 수능 이후에 논술시험을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수능을 끝내고 편안한 마음으로 논술 시험 보라는 의미일까? 아니다! 수능시험을 보고 그 결과에 따라 논술 시험 응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수험생에게 ...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완전히 같은 일란성 쌍둥이는 이란성 쌍둥이보다 정치 성향이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이후 이와 비슷한 연구가 몇몇 더 나왔다. 피터 하테미 미국 아이오와대 정치학과 교수는 2007년 호주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연구해 비슷한 결과를 내놨고, 2010년에는 범위를 유전자를 일부 공유하는 가족으로 넓힌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1979년만 해도 북극해빙의 8월 면적이 약 800만km2였는데, 2007년에는 500만km2로 줄어들었다. 이후 2009년까지 약간 늘어나다가 최근 다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 올해 여름엔 역사상 최소값을 보였다. 올해 9월 초의 해빙 면적은 약 450만km2로 가장 작았던 2007년보다도 작다. 즉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