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그게 돌로 만들어진 인공물일 경우에는 전혀 다른 문제가 되는 겁니다. 문명이 생긴
이후
에 그런 충돌이 발생했다면 인류는 벌써 멸종했을 게 틀림없으니까요. 그러니 그런 건 별로 있을 법한 일이 아니었죠.”“누가 장난으로 갖다 놓은 걸 수도 있지 않나요.”“역시 멋진 제복을 입은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등 사람들이 즐기는 수많은 수학 게임들을 가장 처음 소개했다. 놀라운 점은 고등학교
이후
로 학교에서 수학을 배운 적이 한 번도 없다는 점이다.4. 존 호턴 콘웨이(1937~)지금도 왕성히 활동하는 천재 수학자이자 게임이론의 대가. 새싹게임을 비롯해 생명게임, 읽고 말하기 수열 같은 다양하고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태양계 밖에서는 시공간이 다르게 휠 수도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2012년
이후
위성의 열복사 에너지가 태양을 향한 면과 반대쪽 면에서 서로 다른 것을 보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차이를 보정하면 중력 이상이 오차 범위 안으로 들어온다.하지만 태양계 주변을 넘어 은하 규모로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볼 때 이런 대규모 고추력 로켓이 우리에게 적합한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한국형 발사체
이후
에는 비슷한 크기에 성능을 2~3배로 높이는 연구가 바람직하다. 선진국은 추진제로 액체수소와 액체산소를 사용하는 극저온 엔진을 개발해 이런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은 과감히 미래형 ... ...
공룡 멸종 원인, 소행성 충돌에 힘 실릴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두 시기가 근접한 것으로 설명했다. 소행성 충돌이 실제로 공룡 멸종 이전에 일어났는지,
이후
에 일어났는지에 대한 논란이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는 것이다.공룡 멸종의 소행성 충돌 가설은 월터 알바레즈 UC버클리대 교수가 1980년 처음으로 제기했다. 약 10km 크기의 소행성 충돌로 지구가 불타면서 ... ...
히말라야 流浪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채워진다는 것을 뜻한다.2011년 8월 25일 힌두쿠시에서 원정대는 첫 비행을 시작했다.
이후
K2, 낭가파르바트, 안나푸르나 등 히말라야를 대표하는 거봉 사이사이를 날아 6000km를 이동했다. 히말라야의 바람이 거세지는 않았을까. 원정대는 4000~7000m 상공을 날았다. 8000m가 넘는 히말라야의 봉우리들이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우랄연방대 과학자들이 체바클 호수 인근에서 발견했다. 체바클 호수는 이날 사건
이후
얼어붙은 표면 위로 8m 크기의 구멍이 생겨 유성체의 추락지로 지목되고 있는 곳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운석 조각 수는 53개로 크기는 0.5~1cm로 작으며 10% 정도의 금속을 함유한 석질 운석의 잔해로 확인되고 있다.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기생생물자원은행장)가 개인적인 관심으로 타위리와 연구 인연을 맺은게 시작이에요.
이후
연구소재중앙센터와 용태순 연세대 의대 교수(의용절지동물은행장), 신은주 서울여대 항생제내성균주은행장이 꾸준히 협력 연구와 교류를 하고 있어요. 지난 1월에는 탄자니아 최초의 연구소재은행이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신세대가아카데미 활동을 주도하기 시작한 1740년대 중반에는 뉴턴의 승리가 확실해졌다.
이후
영국을 넘어 유럽 대륙에서도 뉴턴을 ‘보편중력 법칙’을 발견한 사람이라고 말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통데카르트주의자들이 제기했던 문제에 대해 납득할 만한 답이 나온 것은 20세기 초였다. 그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못하도록 금지하는 조약이다. 하지만 지하에서는 여전히 핵실험을 할 수 있었다.
이후
대부분의 핵실험은 곧 지하 핵실험을 의미하게 됐다.지하 핵실험이 주가 되면서 지진파 관측은 빠르게 핵무기 실험의 주요 감시 수단이 됐다. 지진파는 지구를 관통해 퍼져나가는 탄성파 에너지다. 지진 외에도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