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사이배슬론 공개훈련 현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노력하는 사람들이 늘면 세상도 더 많이 변할 수 있겠지? 그날까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모두 파이팅!▼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이언맨 기술이 한자리에! 사이배슬론Part 1. 따뜻한 올림픽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Part 3. 근육을 내 맘대로!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Part 5. 사이배슬론 공개훈련 ...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띤 갈색부터 푸른색, 붉은색 등 다양하지요.가재는 전세계에 여러 종이 퍼져 있는데, 모두 강이나 호수 같은 민물에 살아요. 그래서 ‘민물가재’라고도 부른답니다. 우리나라에도 함경도와 평안북도, 울릉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고 있어요. 식용으로 쓸 수 있지만, 몸 크기가 작고 기생충 ... ...
-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만들면 복잡해 보이는 문제도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답니다.그렇다면 하노이의 탑을 모두 옮기는 데 필요한 횟수는 몇 번일까요? n이 64개니까 2의 64승에서 1을 빼면 되겠죠? 답은 1844경 6744조 737억 955만 1615번이랍니다. 1초에 하나씩 옮긴다 해도 5800억 년 이상이 걸리지요. 세상 멸망은 아직 한참 ... ...
- [과학뉴스] 지구를 닮은 가장 가까운 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닮은 행성인 ‘프록시마 b’를 관측했다고 밝혔답니다.지금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들은 모두 지구에서 수백 광년 거리에 있었어요. 초속 30만km의 빛이 가는 데도 수백 년이 걸린다는 뜻이지요.하지만 프록시마 b는 지구에서 불과 4광년 거리에 있답니다. 초소형 우주 돛단배로 20년 만에 갈 수 있는 ...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등이 놓여 있었어요. 또 사육실에 있는 사슴벌레, 개구리,사마귀, 거북 등도 관찰했지요. 모두 연구를 위해 연구실에서 직접 키우는 생물들이었어요.인진우 학생(지누짱 팀)은 “심화교육을 통해 교수님께서 하시는 연구에 대해 더 잘 알게 됐다”며, “실험을 위해 참을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일어날 거예요. 우선 강한 충격파가 발생하고 큰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충돌한 지역이 모두 파괴될 수 있어요. 소행성이 바다에 떨어졌다면 엄청난 크기의 구덩이가 생기고, 쓰나미가 생길 수도 있지요.또한 지구의 대기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요.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대기 중에 있는 ... ...
- [과학뉴스] 우표만 한 초소형 정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하지만 물을 끓이기 위해선 연료가 필요하고, 태양 자외선은 세기가 약해 세균을 모두 죽이는 데 48시간이나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요.최근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알렉산드리아 보엠 교수팀이 이런 단점들을 해결해 줄 정수기를 개발했어요. 우표 한 장 크기의 이 정수기는 태양빛을 이용해 물속에 ...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밝혀졌지요. 초식공룡인 우리는 나뭇잎 같은 먹이를 먹거나 물을 마실 때 네 다리를 모두 사용해요. 그래서 관절염에 걸리면 움직일 때마다 엄청난 고통이 따르지요. 연구팀을 이끈 제니퍼 앤 박사는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포식자를 만났을 때에도 피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며, “앞다리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건물로 정신없이 뛰어갔어요. 하지만 앞이 안 보일 정도로 세차게 쏟아져 내리는 비에 모두 금세 흠뻑 젖어 버렸지요.“갑자기 웬 소나기야?! 예보에는 없었는데?”티셔츠를 손으로 짜면서 파부르가 투덜거렸어요. 그러자 얼굴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닦지도 않은 채 금만이가 말했어요.“그건 대기가 ... ...
- Part 4. 자동차, 환경을 지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양은 일반 자동차의 절반밖에 안 된답니다.전기자동차의 심장, 배터리자동차와 배터리 모두 발명된 지 100년이 지났는데, 왜 지금에서야 배터리로 가는 전기자동차가 개발된 걸까요?가장 큰 문제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의 크기였어요. 큰 물통에 많은 양의 물이 들어가듯, 배터리가 크면 많은 양의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