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민물고기 탐사대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생태계교란어종인 배스를 잡았다가 그냥 물속에 놔 주면 불법이라며 잡은 배스를 모두 물밖으로 건졌지요. 배스의 입을 벌리자 죽은 납지리가 나왔어요. 배스가 우리 고유 어종을 잡아 먹으며 생태계를 점령해 나가는 광경을 직접 확인하고 보니 심각한 상황이 느껴졌답니다.이렇게 금당천 탐사가 ... ...
- Part 1. 왜 주목 받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아요. 또한 자전거를 탈 때 다리는 물론 팔과 배, 등의 근육을 모두 쓰기 때문에 전신의 근육을 골고루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똑똑하고 안전하게 따르릉~! 자전거의 변신Part 1. 왜 주목 받고 있을까?Part 2. 얼마나 가볍고 튼튼해질 수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저의 서식굴은 단순하게 생겼어요. 빨대처럼 기다란 관 모양이지요.갯벌에 가면 아마 모두들 저의 서식굴이 어디 있는지 쉽게 찾을 수 있을 거예요. 주변에 있는 조개껍데기나 해조류들을 주워서 입구에 잔뜩 쌓아올려 두거든요.집 입구를 이렇게 꾸며둔 이유는 제가 좋아하는 먹이인 작은 생물들이 ... ...
- [과학뉴스] 아빠는 1명인데 엄마가 2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난자를 만든 뒤, 여기에 아버지의 정자를 수정시켜 태어난 아이지요. 세 부모의 유전자를 모두 물려받은 이 아이의 이름은 ‘아브라힘 하산’이랍니다.아브라힘 하산이 이렇게 태어난 건 유전병을 피하기 위해서예요. 하산의 어머니는 ‘리 증후군’이라는 병의 유전자를 갖고 있었답니다. 뇌나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나무 도둑 ‘ 트리나 베버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선녀를 다시 만난 썰렁홈즈와 나무꾼. 하지만 선녀는 나무꾼이 그동안 베어낸 나무를 모두 원상복구해 놓지 않으면 더 멀리 가버리겠다고 하는 게 아닌가!“선녀, 잠깐만 기다려요. 썰렁홈즈님도 분명 도와줄 테니, 금세 나무를 다시 심을 수 있을 거예요!” 결국 썰렁홈즈는 ‘트리나 베버리지’와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충돌하거나, 땅에 쌓인 에너지가 방출되며 땅이 흔들리기 때문이에요. 이때 에너지가 모두 방출될 때까지 한 지역에서 지진이 여러 번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요. 본진은 이렇게 같은 이유로 연속해서 일어난 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을 말해요.시간상 본진 전에 일어난 지진을 전진, 본진 후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서, 옆으로 연 뒤 위로 다시 밀어 올릴 수 있어요. 이렇게 창을 모두 열었을 때의 크기는 16:9에 가까워요. 지금의 와이드모니터나 영화 스크린과 같지요. 그래서 이 창을 열면 정원과 저택 앞 자연 풍경이 벽을 가득 채울 정도로 시원하게 보인답니다. 자연을 방안으로 들이는 ... ...
- [교과연계수업]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충돌하거나, 땅에 쌓인 에너지가 방출되며 땅이 흔들리기 때문이에요. 이때 에너지가 모두 방출될 때까지 한 지역에서 지진이 여러 번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요. 본진은 이렇게 같은 이유로 연속해서 일어난 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을 말해요.시간상 본진 전에 일어난 지진을 전진, 본진 후에 ... ...
- [가상 인터뷰] 산불, 온도와 냄새로 알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머리를 드는 정도의 반응을 보였죠. 체온도 올라갔고요. 24℃까지 더 높였더니 그땐 5마리 모두 민첩하게 움직였답니다.반대로 다시 13℃로 낮췄을 땐 처음의 휴식상태로 돌아갔어요. 주변 온도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걸 알 수 있었죠.또 다른 것도 알 수 있니?우리가 잠을 자면서도 감지할 ... ...
- 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나오는 전기신호인 ‘뇌파’를 컴퓨터나 기계와 직접 연결해요. 뇌파와 컴퓨터 명령어는 모두 전기신호로 이루어져 있어서 뇌파로 컴퓨터를 움직일 수 있는 거랍니다. BCI는 1973년 처음 개발이 시작돼, 지금은 중증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어요.사이배슬론에서는 뇌파로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