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5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친화적인 새로운 전극을 개발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인공 팔이나 인공 다리는
뇌
에서 근육을 통해 피부 표면에 전달된 전기신호인 ‘표면 근전도’를 이용해 움직인다. 하지만 표면 근전도의 경우 동작 수가 제한적이어서 최근에는 신경다발에 전극을 꽂아 직접 전기신호를 받는 연구가 ... ...
유전체 데이터도 ‘구글링’해서 설계한다
2016.05.23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왼쪽)와 구재형
뇌
·인지과학전공 교수 공동연구팀은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유전체 데이터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 DGIST ... ...
다운증후군 만드는 단백질, 다른 지적 장애와도 관련 있다
2016.05.23
과도하게 발현된 생쥐에서 X-염색체 증후군을 유발하는 ‘FMRP’ 단백질을 억제하자
뇌
신경세포가 제자리를 찾아가면서 정상 상태로 회복됐다. 민 교수는 “다운증후군이나 X-염색체 증후군과 같은 지적장애가 공통적인 분자세포학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며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실감나게 그려져 있다. 조현병 환자의
뇌
(오른쪽)는 건강한 사람의
뇌
(왼쪽)에 비해
뇌
의 수축이 더 빠르게 일어난다. 그림에서 빨간 부분이 수축률이 높은 영역으로 환자의 전두엽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 Elsevier Science Publishing/Tyrone Cannon 제공 ● 선진국 도시 환자가 증상 더 심각 보통 질병에 ... ...
‘광유전학’ 치료 첫 임상시험 순항 중
2016.05.22
여기에 청색 빛을 쪼이면 주변의 다른 세포(신경절세포)가 광수용체세포를 대신해
뇌
에 전달할 시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쥐와 원숭이 등 동물실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다. 연구진은 앞으로 2년 간 임상시험을 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추적할 계획이다. 첫 시험 결과는 올해 말 나올 ... ...
[새로 나온 책]세상에 하나뿐인 소년 外
동아일보
l
2016.05.21
분석을 시도했다.
뇌
과학과 공학 등을 통해 피아니스트의 기교는 특수하게 발달한
뇌
활동의 결과물임을 보여준다. 1만5000원. 기원(김희준 등 지음·휴머니스트)=물리, 화학, 생물, 역사를 전공한 각 분야 석학들이 우주와 생명, 지구의 기원을 논한다. 어린 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개념으로 ... ...
IBM 인공지능 로봇 ‘나오미’와 직접 대화해보니…
2016.05.20
나오미는 프랑스 기업 ‘알데바란 로보틱스’가 갓난아기 크기의 본체를 만들고, IBM이
뇌
에 해당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 ‘왓슨’을 장착해 지난해 12월 탄생했다. 나오미는 현재 IBM 엔지니어들이 한 달 정도 학습시킨 초기 단계의 로봇에 불과하지만 사람의 말(영어)을 알아듣고 관련 정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
도 마비된다
2016.05.16
봐도 웃음을 지을 수 없게 근육이 배치돼 있기 때문에 표정근육에서 피드백이 오지 않아
뇌
가 덜 재미있다고 느낀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보톡스도 비슷한 작용을 한다고 설명한다. 즉 눈살을 찌푸리는데 관여하는 근육(추미근과 비조근)이나 웃음을 짓는데 관여하는 근육(눈둘레근)에 보톡스 ... ...
수면과 암기력, 무슨 관계인지 보니
2016.05.13
이후 쥐가 잠들어 렘수면 단계에 들어갔을 때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일부 쥐의
뇌
에서 기억에 관여하는 부위로 알려진 해마의 신경 작동을 껐다. 그 결과 렘수면 동안 방해받지 않은 쥐는 소음이 들리면 공포 반응을 보이거나 철로 된 바닥에 가까이 가지 않은 반면, 렘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 ...
‘가방 끈이 긴’ 사람은 유전자도 다르다?
2016.05.12
조사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학업 기간이 긴 사람들에게 발견된 DNA의 특징은
뇌
와 신경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 유전자들은 태아기에 특히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유전자는 향후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