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뇌"(으)로 총 4,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IT 기술로 건강 지키는 ‘융합형’ 물리학자2016.01.17
- 함께 있었던 선배와 둘이서 BT와 IT를 융합한 새로운 기술을 연구하기로 했다. 물리학과 뇌과학을 연구해 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금이야 융합이라는 개념이 흔하지만 당시만 해도 국내에서 바이오 분야에 IT 기술을 접목하는 일은 사실상 처음이었다. 그는 당시 연구과제를 추진하면서 ... ...
-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새가 노래 배우는 비밀은2016.01.17
- 생후 155일 이후) 7마리를 대상으로 인공적으로 합성한 금화조의 울음소리를 들려주고 뇌의 뉴런 활동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노래의 A구절과 B구절을 ‘A-B-A-B’ 형태로 들려주는 방식으로 HVC 영역의 뉴런 활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새로운 구절 A와 B를 처음 들을 때는 어른 새와 어린 새 ... ...
- 박제균 KAIST 교수, 제11대 한국바이오칩학회장 선임2016.01.14
-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제균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사진)가 한국바이오칩학회 제11대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4일 밝혔다. 박 교수는 1일부터 1년 임기로 학회를 이끈다. 한국바이오칩학회는 바이오칩 분야의 기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6년 설립된 학술단체다. 바이오칩은 작은 ... ...
- 손발 움직이기 전, 뇌가 ‘시나리오’ 여러 개 준비 2016.01.13
-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랜디 플래너건 교수는 “이번 실험은 우리 뇌가 다양한 움직임을 계획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그 덕분에 상황에 맞춰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Health&Brauty]심박동기·척수자극기 이식 환자도 MRI 검진 가능해져동아일보 l2016.01.13
- 뇌심부 자극기는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 장애나 중추신경 이상으로 인한 통증, 난치성 뇌전증(간질), 강박증, 틱장애 등의 치료를 위해 체내에 이식됩니다. 이 기기 또한 MRI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2015년 미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았습니다. 의료기술은 정말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환자의 ... ...
- 영화 속 ‘투명인간’ 만드는 약, 현실에 등장2016.01.11
- 장기 속까지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어 각종 장기를 연구할 때 핵심기술”이라며 “특히 뇌과학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일 자에 실렸다. ... ...
- “2년 더 고통의 시간 보내야 하나” 말기환자들 긴 한숨동아일보 l2016.01.11
- 말했다. 그는 판결 이듬해인 1999년 법복을 벗었다. 권 전 판사의 어머니는 수년 전 뇌경색으로 쓰러진 뒤 현재까지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요양병원에 입원해 있다. 연명의료의 대상인 셈이다. 초기에는 자가 호흡이 어려워 인공호흡기를 달았지만 고비를 넘긴 뒤에는 호흡기를 다시 달지 않았다. ... ...
- ‘쿡방’에 열광 이유, ‘눈으로 음식 찾는 본능’ 때문2016.01.10
- ‘뉴로이미지(Neuroimage)’에 발표했다. 음식 사진이나 영상을 접하는 것 만으로도 뇌는 음식을 먹고 있는 것으로 착각한다는 의미다. ● 지나친 음식 이미지 탐닉, 비만·당뇨 위험 높여 pixabay 제공 전문가들은 음식 사진이나 방송을 꾸준히 보는 일은 실제 과식으로 이어져 비만이나 당뇨 등을 ... ...
- 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6.01.09
- GIB 제공 남자가 여자보다 길을 더 잘 찾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자가 여자보다 해마 부위를 더 많이 사용하 ... 뇌에 다른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학적뇌연구’ 2015년 12월 1일자에 발표됐다. ... ...
- 아이 계획 있다면 남편 다이어트부터과학동아 l2016.01.08
- 10명의 정자 세포에서 후천적으로 바뀐 유전정보를 비교했다. 그 결과 비만 남성에게서는 뇌 발달과 식욕 조절에 관계된 유전자에서 DNA메틸화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DNA메틸화는 유전자의 형질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아버지의 식욕이 아이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뜻이다.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