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골, 한번 닳아 없어지면 재생 어려워”
2016.07.07
재생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6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탄소동위원소(C14) 분석 기법을 이용했다. 1935~1997년에 태어난 23명의 무릎관절 속에 있는 탄소동위원소를 조사했다. 이들 중 정상은 8명이었고,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가 1 ... ...
비운의 日 천체관측위성 ‘히토미’가 남긴 마지막 유산
2016.07.07
연구진과 공동으로 외계 은하 중심부에서 새로운 대기권을 발견했다고 ‘네이처’ 7
일자
에 발표했다. ● X선 관측 데이터 분석 연구진은 3월 발사한 지 한 달 만에 고장난 일본의 ‘히토미(아스트로-H)’가 통신 두절 직전에 전송한 데이터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했다. 히토미가 생존한 한 달 ... ...
매미 울음소리 퍼지면, 파리의 사랑도 깊어진다
2016.07.05
진행한다는 사실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학술지 ‘곤충과학저널(Journal of Insect Science)’ 5
일자
에 발표했다. 곤충은 더듬이나 발에 달린 수용체로 냄새를 감지한다. 하지만 곤충에게 더 예민한 감각은 청각이다. 파리와 같은 곤충은 숙주가 내는 소리를 듣고 모여들어 숙주에서 알을 낳고 새끼를 ... ...
치사율 60% 패혈증, 우리 몸 속에 답 있었네
2016.07.05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윤주헌 연세대 의대 교수(왼쪽)와 유지환 교수. - 연세대 제공 한 해에 세계에서 2000만 명이 사망하는 패혈증을 ...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포생물학 관련 학술지인 ‘오토파지(Autophagy)’ 6월 23
일자
에 실렸다. ... ...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 어떻게 생겨났나
2016.07.05
두 위성이 생긴 원인을 분석해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4
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결과 화성의 두 위성은 거대 충돌로 생긴 파편 띠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화성의 두 위성이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했다. 주로 주변의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발표한 1866년의 150주년인 올해에도 마찬가지 같다. 게다가 학술지 ‘네이처’ 5월 19
일자
에는 생물학 교과서에서 멘델의 연구결과를 빼자는 주장이 실리기도 했다. 멘델은 오스트리아제국(현 체코)의 브루노 수도원에 머무르며 1856년부터 1863년까지 완두를 대상으로 교배실험을 했고 이 결과를 18 ...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6.07.03
사이언스' 7월 1
일자
표지에는 에이즈 치료약이 실렸다. - Science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약이 담겼다. 이 약은 10년 넘게 에이즈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거의 유일하면서도 강력한 ‘무기’다. 남아공은 전 세계 에이즈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따라 소수성과 친수성을 모두 갖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네이처’ 3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금족 원소인 로듐(Rh) 표면 위에 얇은 질화붕소를 생성시켰다. 로듐과 질화붕소는 평면구조를 이루는 원자의 개수가 달라 잘 맞아떨어지지 않고 3.2㎚(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간격의 굴곡이 ... ...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바다 ‘웜풀’ 꾸준히 팽창… 태풍, 집중호우 강해져
2016.07.02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
일자
에 실렸다. 인도-태평양 웜풀의 영역. 1950년 대(점선)에 비해 현재(실선) 웜풀의 면적은 35%가량 넓어졌다. -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제공 ... ...
[과학동아 7월호] “지리산이 설악산보다 산사태에 취약”
2016.07.01
이 연구 결과는 대한지질공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지질공학’의 지난달 30
일자
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2014년부터 전국의 산지 9곳에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12개를 설치하고 비가 올 때와 산사태가 일어났을 때 나타나는 지질 특성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3년 이상 데이터를 모은 뒤 산사태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