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6.07.18
Ltshears(W) 제공 특정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 영국 옥스 ...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6월 7
일자
에 발표됐다 ... ...
무공해 수소 만드는 기술, 효율 40% 높였다
2016.07.17
파장에 따라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는 ‘전도성 분포 브래그 반사기’의 원리. 이 장치는 광전기화학층(전면)이 흡수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의 빛은 반사하고 ...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21
일자
에 게재됐다. ... ...
도시 새는 순정파, 바람 피우지 않는다
2016.07.17
거의 대부분 새가 바람을 피우지 않는다는 관찰결과를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15
일자
에 발표했다. 매는 일반적으로 낭떠러지에 둥지를 짓고 평생 한 명의 반자와 고립돼 함께 살아간다. 서식지가 넓어 다른 가족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바람을 피울 기회가 적기 때문에 1부 1처제를 ... ...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
과학동아
l
2016.07.17
유비퀴틴 - Rogerdodd(W) 제공 우리 몸은 세포 내 단백질이 수명이 다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 ... 세균 감염 등 질병을 훨씬 더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5월 5
일자
에 실렸다 ... ...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
과학동아
l
2016.07.16
암수 간의 뇌 신경세포 차이가 행동 차이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5월 4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의 뇌 신경세포에 일부 차이가 난다는 데 주목해 각각이 서로 다른 신경망과 연결돼 행동 차이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가정했다. 실제로 유충 단계에서 먹이, ... ...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6.07.15
다양한 암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만능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네이처’ 6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항암백신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백신의 원리를 암 치료에 도입한 것으로, 면역세포가 특정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해 공격하게 만드는 게 핵심이다. ... ...
독수리가 7살 아이 공격, 낚아채려 시도
2016.07.15
팝뉴스 제공 12일 BBC 등 해외 언론들이 전한 뉴스입니다. 현지
일자
6일 호주 앨리스 스프링스 사막 공원에서는 맹금 쇼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아무도 예상 못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쐐기꼬리수리 한 마리가 7살 가량의 소년을 공격한 것입니다. 이 독수리를 소년을 낚아채려 했던 게 분명합니다. ... ...
모기와의 전쟁에서 살아 남는 법
2016.07.15
사람을 물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13
일자
에 발표했다. 모기는 꽃에서 당을 섭취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데, 펩타이드를 넣어 합성한 ‘인공 당’을 모기에게 주자 전혀 흡입하지 않았다. 래그즈데일 교수는 “펩타이드를 넣어 합성한 인공 당으로 ... ...
로봇, 3D로 공룡 연구해보니…‘쥬라기공원’ 허구가 아니네!
2016.07.15
좌우로 움직이는 힘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같은 내용은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8
일자
에 실렸다. 뭍에 올라온 최초의 고생물인 ‘익티오스테가’(왼쪽). 미국 연구진은 3D프린터로 익티오스테가와 닮은 로봇을 만들어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힘을 이용해 땅 위를 걸어다닌다는 사실을 ... ...
“나노물질이 퇴행성 뇌질환 일으킬 수 있어”
2016.07.14
교신저자인 이광 아주대 교수(왼쪽)와 제1 저자인 신태환 연구원. - 아주대 의대 제공 나노물질은 최근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됐다. 크기가 작은 ... 데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5
일자
에 실렸다.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