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보다 미국 갈 때 시차적응이 힘들었던 이유
2016.07.22
이유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밝혀 미국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카오스(Chaos)’ 12
일자
에 발표했다. 우리 뇌의 한가운데에 있는 시교차상핵은 고유한 생체시계를 갖고 있다. 그 덕분에 사람은 매일 비슷한 시간에 잠이 들고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환경이나 수면 패턴이 급격히 바뀌면 ... ...
화산 없는데 땅 밑에 웬 마그마
과학동아
l
2016.07.21
활화산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뉴질랜드 북섬의 마타타 지역에서 새로운 마그마가 발견됐다. 마그마는 현재 지표 아래 9.5km까지 올라왔다. 최근 이 지역에서 자주 ... “결국 식거나 그대로 굳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스’ 6월 3
일자
에 발표됐다 ... ...
항암치료에 쓸 ‘백신 배달부’ 개발됐다
2016.07.20
단백질 나노입자 '인캡슐린'을 개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왼쪽부터 최봉서 연구원, 강세병 교수, 문효진 연구원.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과 같은 병원체 ... 강력한 항암백신으로 쓰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Nano’ 8
일자
에 실렸다. ... ...
살 쭉~ 빠지는 설탕 대체제 나온다
2016.07.20
Pixabay 제공 단맛을 좋아하는 ‘슈가보이’도 날씬해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내 연구진이 감미료 '알룰로스'의 체지방 조절 효과를 입증했다. 이 감미료는 설탕 70% ...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몰레큘러 뉴트리션 앤드 푸드 리서치(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9
일자
에 실렸다. ... ...
화학실험도 아~트하게, 느낌있게
과학동아
l
2016.07.20
화학반응 부산물과 만나면 빛을 내는 나노물질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대조군 플라스크(왼쪽)와 달리 화학반응이 일어난 플라스크(오른쪽)의 색깔이 다채롭게 변하고 있다. ... 화학반응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 5월 5
일자
에 실렸다 ... ...
균과 공생해 뿌리 성장 조절… 나무도 영양분 스스로 찾는다
2016.07.19
영양분을 확보하는 과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8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소나무와 버드나무, 삼나무 등 모두 16종의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이용해 실험했다. 이 결과 대부분의 식물이 뿌리부분에서 균(fungus)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전극이 붙어있는 1차원 반도체 전자현미경 사진(왼쪽)과 끝부분을 확대한 사진 - 고려대학교 제공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전류와 빛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극미세 반도체 ...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권위 학술지 ‘나노 레터스’ 6월 27
일자
에 실렸다. ... ...
수명 4배 길어진 유연 태양전지 개발
2016.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4배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손해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하 ...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5
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고양이의 물리학 수준이 이 정도
과학동아
l
2016.07.19
물리적 현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동물 인지’ 6월 14
일자
에 밝혔다. 연구팀은 고양이 30마리에게 네 종류의 상자를 보여줬다. 소리가 나면서 뒤집으면 물건이 떨어지는 상자와 소리는 나지만 물건이 떨어지지 않는 상자, 소리는 안 나는데 뒤집으면 물건이 떨어 지는 ... ...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으로 높였다
2016.07.18
교신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김동하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왼쪽)와 제1저자 전리나 연구원 - 이화여대 제공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신소재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조명장 ...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6월 27
일자
에 실렸다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