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턱없이 작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또다른 놀라움과 함께 실망하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
지난
3월 22일(미국 시간), 미국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 펄스장실험동은 한 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커다란 공장이나 발전소의 터빈처럼 보이는 칙칙한 회색 사진이었다.(오른쪽 아래 사진) 사진 설명에는 실제로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존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NASA는 혜성 근접 관측을 위한 ‘에폭시’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
2010년 혜성 ‘하틀리2’ 근접 촬영에 성공했다. 사진은 하틀리2를 근접촬영하는 장면을 사실에 가깝게 그린 상상도. 2011년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과학자들이 하틀리2에 지구와 성분이 같은 물이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2011년 10월호 60쪽 기사 참조). 이 천체에 대한 연구는 조석파괴 현상이 일어난 지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거대질량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1억 배가 넘는 경우에는 가까이에 별이 다가가도 조석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별은 블랙홀로 그대로 떨어진다.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썼다. ‘해석기하학’과 더불어 오늘날 사용하는 ‘좌표평면’의 창시자로 유명하다.]
지난
5월 15일 12년 만에 ‘악마’가 부활했다. 서울 왕십리 일대를 마비시켰다는 인기 게임 ‘디아블로3’ 이야기다. 그러나 악마는 종교나 신화, 게임에만 있는 존재가 아니다. 가장 합리적이라는 과학자들도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찾아갔던 집터 이야기를 신나게 들려주고 있는지도 몰랐다.린다우어의 연구는, 20년도 더
지난
1970년대에 대서양 건너 미국의 한 대학원생의 눈길을 끌었다. 바로 ‘꿀벌의 민주주의’ 저자인 토머스 실리 미국 코넬대 교수다. 당시 그는 취미 수준을 넘은 양봉가였는데, 의대 진학을 때려치우고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수밖에 없다. 그러나 다양한 형식과 구성에서도 반드시 따라야 할 보편적인 원칙은 있다.
지난
호에서 기사를 쓸 때 필요한 보편적인 원칙을 지적했다. 6월호에는 여러 기준들 가운데서도 읽는 사람, 즉 독자를 배려하는 글쓰기가 필요하다는 원칙을 제시하고 싶다. 우선 과동 초이스에 꼽힌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러나 그 안에서도 우리는 해야 할 일을 풍성하게 찾을 수 있다.” 감사합니다. [
지난
5월 10일 스코틀랜드에딘버러대에서 열린 앨런 튜링 탄생100주년 강연회. 고약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청중이 가득 들어찼다.]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식 컴퓨터로, 이후 상업용 컴퓨터인 마크I로 발전했다. ... ...
내 가슴은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매년 1만~1만 5000명 정도가 유방확대수술을 받고 있다. 부작용 보고도 함께 늘고 있다.
지난
해 식약청에 보고된 의료기기 부작용 717건 중 가슴확대술 등에 쓰이는 보형물로 인한 사례가 60%인 428건에 달했다. 제품 파열이 199건으로 가장 많았고 삽입된 보형물 주변 조직이 딱딱해지는 현상(구형구축)도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알려준다. 구글 자동차는 미국에서 무인 운전 자동차 면허를 따내는 데 성공했다. 이미
지난
이야기가 됐지만 검색엔진이 최고의 답을 찾고 페이스북이 ‘나를 알 만한 친구’를 찾아주는 것도 인공지능 덕분이다.그러나 이런 기계들은 여전히 인간이 너무나도 쉽게 푸는 많은 문제들을 풀 수 없다.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에너지에 따라 1~2년이나 지속되기도 한다. 때문에 바다 전체에 항상 꽉 차 있다. 1년이
지난
것도, 1~2주밖에 안 된 것들도 있다. 에디는 덧없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가벼운 존재가 아니다.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박사는 “에디는 하나의 고립된 현상이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의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