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12월호 기획 ‘2011 노벨상’ 참조).이어진 여러 관측 결과, 우주는 태어난 지 약 70억 년이
지난
후부터 팽창속도가 점점 빨라졌다. 우주가 이렇게 점점 더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는 것은 어떤 힘이 계속 작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지금으로서는 이 힘의 정체가 무엇인지 알 길이 없다. 과학자들은 이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용기중 교수와 이승협 박사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이 메모리 소자는
지난
4월 ‘어드밴스드머티리얼’지에 소개됐다. 실제로 물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후속 실험에도 성공해 같은 과학학술지 6월호에도 실렸다.방수 반도체는 오랫동안 과학자들이 연구해온 ... ...
영국, 세 부모 아기 허용하나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셋인 아이가 탄생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지난
6월 4일 보건부 산하 의료윤리감독기구인 인간수정배아관리국(HFEA)이 난자의 미토콘드리아를 다른 여성의 미토콘드리아와 바꾸는 기술을 일반 여성에게 허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미토콘드리아란, 에너지를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갖는 화석들이 잇달아 발견되면서 진화의 상징이었던 시조새의 위상이 많이 떨어졌다.
지난
해 ‘네이처’에는 시조새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오히려 500만 년 정도 더 앞선 지층에서 발견된 조류 화석인 ‘샤오팅기아 정기’가 공개됐다. 연구자들은 “이들 화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시조새는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여기서 추출해 결정화한 설탕이 보급되면서 설탕이 주된 당의 형태가 된 것이다.그런데
지난
수십 년 사이 이런 트렌드에 변화가 생겼다. 옥수수 녹말을 효소로 처리해 포도당으로 분해한 옥수수 시럽을 만들고 여기에또 다른 효소(자일로오스 이소메라아제)를 처리해 포도당을 과당으로 바꾸는 ... ...
과학동아 청소년 정기자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축하합니다.
지난
6개월 동안 열심히 기사를 올린 수습기자 여러분의 열정 덕분에 게시판이 풍성해졌습니다. 그 중 우수한 기사를 성실하게 올린 학생을 정기자로 뽑았습니다. 공정한 선발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답니다. 물론 쉽지 않은 작업이었죠. 열정과 재능에 감동하기도 했고, 특정 학생만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열었다. 26명의 학생들과 6명의 동아리 도우미 학생들과 함께 진행했다. 금성일식 현상은
지난
6월 6일 오전 7시 9분부터 오후 1시 49분까지 일어났다. 다음 일면통과는 2117년에 일어난다고 한다. 21세기의 마지막 금성일식을 관측하기 위해 오전 7시부터 학교로 모여 관측을 시작했다. 망원경을 처음 ... ...
특명! 오感감을 속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여러분이 맡은 향기는 제가 개발한 ‘왕구려 향’입니다. 이 대회에 나와서 뿌리려고
지난
3주간 고민해서 만든 향기죠. 머릿속이 깨끗해지고 마음이 편해지면서 제가 갑자기 믿음직스러워 보이지 않나요?흠, 향기 하나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게 정말인가요?당연하죠. 여러분은 자신의 ... ...
뚱뚱하면 수학 성적도 나쁘다?!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수학성적은 반비례한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6월 14일 미국 미주리대 영양·운동·생리학과 사라 게이블 교수팀은 ‘비만과 수학성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12세 미만의 6250명 아동들을 대상으로 비만과 수학성적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장 정밀하게 뇌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다.]아쉽지만 fMRI가 개발된 지 2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fMRI를 대체할 만한 새로운 뇌기능영상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미래의 뇌기능영상 기술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 우선, fMRI나 뇌자도는 초전도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을 갖춘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