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곳과 서로 충분히 교환할 수 있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온도가 균질해졌고, 137억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주 초창기에 최초로 방출한 빛이 남긴 온도 흔적(이것이 ‘우주배경복사’다)은 균질하다. 우주 전체에서 겨우 1000분의 1 정도의 차이밖에 없을 정도다. 인플레이션 없이 이렇게 될 확률은 ... ...
- [5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광견병 비상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4월 15일부로 ‘광견병 발생 주의보’를 발령했다. 지난 13일 야생 너구리와 접촉한 경기 화성 농가의 개가 광견병에 걸린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광견병은 사람에게 옮을 수 있는 인수공통 전염병으로, 한강 이남에서 발생한 것은 13년 만이다.광견병의 원인은 ...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단순히 섬마을 사람들에게 먹을 것과 땔감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지난 2009년부터 2년 동안 한국과학기술단체연합회, 산림청의 도움으로 필리핀국립대 레니 카마초(Leni Camacho) 교수와 함께 맹그로브 숲의 탄소 흡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맹그로브 숲이 갖고 있는 또 다른 장점을 찾기 ...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우주의 중심에 놓게 되는 것이다. 천문학자들이 이런 ‘재밌는’ 견해를 다시 듣게 되면 지난 500년 동안의 과학적 진보가 물거품이 되는 것 같이 느낀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전혀 새로운 종류의, 그러나 매우 강력한 반증이 발견되었다.빅뱅우주론에 의하면 우주 나이가 태어난 지 38만년, 젊고 작은 ... ...
- V3도 못 찾은 바이러스, 청소년이 찾았어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정보통신 윤리나 보안의식은 낮은 편이다. YIS와 런치킨은 ‘IT 계몽’을 위해 뭉쳤다. 지난 1월 박정훈, 이규형 학생은 V3 백신프로그램도 찾지 못한 바이러스를 찾아서 안철수연구소와 국정원에 신고했다. 이규형 학생은 “하루에도 새로운 바이러스가 12만 개씩 만들어진다”며 요즘은 바이러스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쓰나미는 시속 730km로 몰려온다극한 해양환경의 또 다른 문제는 지진해일(쓰나미)이다. 지난해 일본에서 발생한 쓰나미 사례에서 본 것처럼 복구가 힘들 정도의 파괴력을 지닌다. 해저 지진 등과 같은 이유로 넓은 지역에서 파도가 갑자기 만들어지면 연안에 도달할 때 대단히 큰 높이를 형성하기도 ...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드뭅니다. 많은 경우 장내미생물이 인체가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분해해야 하지요.”지난 20여 년 동안 장내미생물을 연구해온 경희대 약대 김동현 교수의 설명이다. 먹는 천연 의약품은 인체에 흡수가 돼야 약효가 나오므로 넓은 의미에서 식품에 포함될 수 있다. 플라보노이드 같은 식품의 특정 ... ...
- Part3. 비판과 한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쓴 수학이 진짜 우주일까. 그렇다면 시뮬레이션 다중우주는 가짜 우주일까. [지난 해 7월 스테판 피니 영국 런던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이 찾은 ‘영원한 인플레이션 다중우주’의 충돌 흔적 후보(오른쪽 아래 색이 다른 부분). 아직은 좀더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주기적 다중우주관측을 통해 ...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연구를 지난 4월 12일 마무리하고 첫 번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백인천 프로젝트는 지난해 12월,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트위터를 통해 “4할 타자가 사라진 이유를 분석해 보자”고 제안해 결성된 프로젝트 연구 그룹으로, 58명의 평범한 직장인과 학생들이 주인공이다. 기자도 연구 ...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어디일 것 같지만 아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는 지난 4월 5일, 이란 동부에 위치한 ‘루트 사막’이 지구에서 가장 ‘핫’한 지역이라고 발표했다.미국의 광학위성 랜드샛 7호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 동안 지구 표면을 가시광선과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했다.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