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기"(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한창 진행 중이다. 90년 전인 1927년 이후 양자역학에서 어떤 물줄기가 흘러나왔고, 그 물줄기가 어떤 조류를 만들었기에 그 최전선에 양자물질이 등장했는지, 양자물질이 무엇이며 어떤 게임이 벌어지고 있는지 조명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배아의 놀라운 적응력을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돌연변이 쥐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배아줄기세포에서 연구 주제인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이것을 수정 후 5~6일이 지난 다른 정상적인 배아에 주입합니다. 배아는 세포 수가 조금 늘어나도 이에 아랑곳없이 발달을 합니다. 이렇게 태어난 쥐가 생식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광합성을 하며 살아가기 때문이지요. 대신 넓은 쟁반 모양으로 펼쳐진 ‘엽상체’가 줄기와 잎 역할을 담당한답니다. 또 엽상체 아래에 ‘헛뿌리’가 솜털처럼 솟아나 뿌리 대신 몸을 단단히 고정해 주지요.우산이끼는 평소에는 엽상체만 펼치고 살다가 번식을 할 만큼 자라나면 우산대 같은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물관은 ETE-S로 가득 채워졌고, 기다란 전도선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게 됐다.식물의 줄기 단면을 보면 여러 개의 물관이 조금씩 떨어져서 위치해 있다(43쪽 사진 참조). 즉, 전도선 여러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셈이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전도선이 축전기의 금속판과 같은 역할을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말하고 거절 당해도 그게 정말 좋은 것이다’라는 말이 뭔가 구름 사이로 비치는 한 줄기 빛과 같았다. 결국 언젠가 그 빛을 향해 뚫고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날 결심을 하고 나는 뭐라고 어떻게 그녀에게 말할지 생각했다. 풍선과 촛불을 사서 어쩌고저쩌고 잔치를 한다는 방법에서부터, ... ...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연구의 성공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정부기관들의 입장도 달라지고 있다. 2015년 9월, 인간 줄기세포를 낭배기 이전의 다른 척추동물 배아에 주입하는 연구에는 연구비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던 미국국립보건원(NIH)은 약 일 년 만인 2016년 8월, 키메라 배아 연구에 대한 연구비 지원 중단을 해제할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따서 가져오지 않고 열매에 상처를 낸 뒤 병을 받쳐 놓고 온다. 그러면 꽃으로 가야 할 줄기의 진 액이 병으로 흐른다. 다음 날 다시 야자나무에 올라가 조금 더 상처를 낸다. 이렇게 며칠에 걸쳐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비로소 야자 설탕 진액으로 병을 채울 수 있다. 자연의 향기를 맡다음식 문화에 ...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것”이라고 주장했다.과학자들은 과학기술을 통해 인류의 수명을 연장할 거라고 본다. 줄기세포로 바이오프린팅한 인공장기나,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유전자를 교정해 난치병을 정복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미래에 되살아나 치료받기를 원하는 ... ...
-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GSK)3’의 억제제로 이용하는 티데글루십이라는 약물이 치아 안쪽 부분인 치수의 줄기세포를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티데글루십은 안전성이 이미 입증돼 치매 환자의 신경퇴행 질환 치료를 위한 임상시험에서 사용하는 약물이다.연구팀은 드릴로 쥐의 치아에 구멍을 뚫은 뒤, 체내에서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유명한 줄기세포연구소를 보면 다양한 학과에서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줄기세포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합니다. 그런데 CiRA는 오직 iPS세포 연구만을 위해 2010년 4월 설립됐습니다. 연구소장인 야마나카 교수를 중심으로 32개 연구그룹 약 300명의 연구원들이 모여 있습니다.iPS세포 연구도 종류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