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기"(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바지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마루야마 과장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통한 재생의학이나 지난해 새로 개설한 인공지능(AI)센터 등을 통해 미래사회를 바꿀 기초과학 연구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덕후’들의 성지로 알려진 독일 남서부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토끼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뿌리가 한 조각이라도 남아 있으면 다시 거기에서부터 토끼풀이 자라나는 것은 물론, 줄기가 끊어져도 살아가는 데 전혀 문제가 없거든요. 이렇게 토끼풀처럼 특별한 유성생식 과정 없이도 똑같은 생물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생물을 ‘모듈생물체’라고 부른답니다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방문한 로봇은 ‘M1’으로 불리는 자율주행 지도 제작 로봇이었다. M1은 16개 레이저 빛줄기로 사방을 훑는 라이더 네 개를 사용해 공간을 상하좌우로 스캔했고, 여기서 감지된 사물을 3차원 공간에 점으로 채웠다. 쉽게 말해 X, Y, Z축으로 이뤄진 3차원 좌표에 점을 찍으며 3차원 지도를 그린 것이다. M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줄기세포로 역분화 해 훼손된 조직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절단된 부분에 미분화된 줄기세포 덩어리가 생기고, 이것이 새로운 조직으로 분화합니다. 저라면 이것으로 손과 발을 재생시키는 데서 끝내지는 않을 겁니다. 유전자를 교정해 기능을 높여야죠. 요즘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핫’한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후 2016년 발견이 공식적으로 인정됐고, 올해 물리학상 수상에 성공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이후 최근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는 생리의학상 수상에 실패(?)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현재 특허권을 둘러싸고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다.특허권 분쟁은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주제인 시간, 돈, 광기, 죽음 등을 빛의 스펙트럼으로 표현한 것이지요. 그런데 어떻게 한 줄기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다채로운 빛을 낼 수 있는 걸까요? 프리즘은 빛을 굴절, 분산시키는 광학 도구입니다. 빛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굴절합니다. 공기 중에서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거예요. 연구팀은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대리모인 미꾸라지에 이식해서 치어 7576마리를 얻었어요. 앞으로 연구팀은 이 치어를 자연 생태계에 방류하기 위해 계속 연구할 예정이랍니다.하지만 하천이 오염되면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미호종개도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미탈리포프 연구팀은 유전자 교정을 진행한 6개 배아줄기세포주 중 2개에서만 부계 유전자가 존재함을 보였다”며 “연구팀이 처녀생식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데이터를 해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미탈리포프 교수팀의 태도는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혈관과 놀랍도록 닮았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시금치를 뼈대로 이용해서 심장의 줄기세포를 키우면 인공 심장 조직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했지요.실험 결과, 실제로 저희가 만든 인공 심장 조직은 심장처럼 꿈틀거리기도 하고, 칼슘 등의 영양분을 이동 시키기도 했답니다!Q 앞으로의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포가 반응하는 물질만 추려내면 환자 맞춤형 약이 탄생하는 거죠. 앞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의과학 분야의 지형을 어떻게 바꿔 놓을지 기대가 됩니다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