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팔방미인 수학자, 브릭!브릭은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좋은 교구로 평가 받았다. 최근에는 교구를 넘어 수학이나 컴퓨터 과학, 로봇 공학 분야에서 전문가의 연구를 돕는다. 팔방미인 브릭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여러 번 다시 받았고, 3번 음성 판정이 나와 퇴원했다. 강남 모 병원에 입원한 30대 남성도 처음에는 검사 결과가 음성이었다가 나중에 메르스에 걸렸다는 판정을 받았다.메르스 진단은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우선 열이 나거나 호흡기 이상과 같은 의심 증상을 ...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저는 직접 이 실험에 참여할 생각이었거든요. 그런데 연구팀이 모두 저를 말리더군요. 처음에는 이유 없이 말리기만 하는 연구원들이 야속했는데, 실험 과정을 지켜보니 실험에 직접 참여했더라면 정말 큰일 날 뻔 했더라고요. 연구팀은 인쇄한 꼬리 모형을 누르고 마구 비틀며 압력과 비틀림에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디자이너는 물론 소비자도 가상 세계에서 사람의 역할을 할 부품을 원했다. 그렇게 1978년 처음 탄생한 브릭용 작은 인형은 현재까지 4000종류 이상이 나왔다. 서로 다른 머리 스타일과 옷, 얼굴 표정 등을 다양하게 조합해 만들 수 있는 작은 인형은 1000조 개가 넘었다. 레고 외의 다양한 회사가 만드는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에 태양계 외곽에 있는 명왕성에 약 1만 2550km 거리까지 접근했다. 처음 보는 명왕성의 상세한 모습이 눈앞에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인간의 우주 탐사가 점점 더 먼 곳까지 미치고 있다. 이제는 수많은 외계행성이 발견되면서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에 대한 관심도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복습한 끝에 우리는 마침내 중력장방정식을 풀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물론 이 모임도 처음에는 8명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단 4명만 남았다. 박 할머니도 그 중 한 명이다. 책꽂이 한 편에서 교재를 꺼내 보여 주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한텐 이게 제일 보물이야. 벌써 첫 번째 책은 다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epigenesis)으로 의견이 갈렸다. 전성설 지지자들은 성인에 필요한 세포가 생식세포에 처음부터 만들어져 있고 이것들이 점점 커가는 것이 발생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정자 속에 아주 작은 모양을 한 인간이 있고 그것이 점점 커져서 아이가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대로 후성발생을 믿은 사람들은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계속 보시려면?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듈이 모여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있다. 2012년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이 이름을 처음 붙인 이정호 레인보우 대표이사는 “기존에 있던 로봇 구동 소프트웨어들이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웠다”며 “컴퓨터공학과 출신이 아닌 나 같은 사람도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도록 쉽게 만드느라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드는 원리와 같다. 당시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러시아의 핵 시설이 처음으로 서방에 문을 열었다”며 감격스러워했다. 만들어진 실리콘 덩어리는 호주로 건너가 2개의 공으로 깎였다. 이 공이 다시 독일로 건너와 과학자들의 검사를 받았다. 과연 표면에 산소 원자가 달라붙어 산화된 ... ...
이전3553563573583593603613623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