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크로토의 아이디어와 다른 두 사람의 실험 기술이 만나 가능한 일이었다. 그들이 처음 집중한 물질은 ‘흑연’. 흑연은 탄소 원자가 육각형 모양으로 서로 연결돼 만들어진다. 그런데 여기에 레이저를 쏘자, 흑연에 있던 탄소 원자가 불에 탄 숯처럼 번쩍 타올랐다. 레이저가 지나간 자리에 남아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영화 ‘콘택트(1997)’에 자문을 했던 것으로도 유명하지만, ‘인터스텔라’에서는 맨 처음 대본 작업부터 미장센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물리학에 기반을 두고 적극적으로 자문했다. 거대한 블랙홀 가르간투아의 환상적인 모습은 상상의 산물이 아니다. 아인슈타인 중력장 방정식을 일일이 풀어서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과 고양이가 보는 모습(아래). 고양이는 야행성이라 낮에는 사람보다 시력이 떨어진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 내 가족을 소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자신의 아빠를 같은 반 친구들에게 소개한다고 생각해 보세요.“아빠는 키가 크고, 뽀로로와 비슷한 안경을 끼고 있어요. 배가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기리가미가 역사적인 순간에 큰 역할을 한 일화도 있다. 1777년 미국의 국기 성조기를 처음 만들 때의 일이다. 이때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재봉사인 베치 로스에게 성조기에 오목 육각형 모양으로 된 별 13개를 그려 달라고 주문했다. 13개의 별은 미국 독립선언 당시 13개의 주를 의미했다. 그러자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끝이 없는 게임이 되고 말 테니까요. 위에서 떨어진 블록이 아래에 있던 블록과 충돌하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조건을 게임에서 구현하려면 컴퓨터 언어로 적합한 명령어를 입력해야 해요. 명령어를 골라 입력하는 방법까지 배우고 이 날 게임카페는 마무리됐어요.수업이 끝난 뒤에도 자리를 ...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보냈어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4월 14일에 처음으로 공개했지요.아리랑 3A호는 아리랑 3호가 떠 있는 높이보다 100km 정도 낮은 528km 높이에서 지구를 돌며 사진과 영상을 찍고 있어요.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더 선명한 영상을 찍을 수 있죠. 흑백 영상의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어렸을 때부터 정글에 가는 게 꿈이었어요. 저는 비를 맞는 걸 정말 싫어하는데, 처음 열대의 정글에 갔던 날 비가 막 쏟아졌어요. 그런데 그날 정글의 다양한 동식물들을 보니 정말 행복하더라고요. 두 팔 벌려 비를 맞으면서 “I’m happy!”를 외쳤답니다.제 꿈은 고래 박사인데요, 원장님같은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양을 늘리는 이유다. 자극이 점점 강해질수록 중독도 점점 깊어진다. 스마트폰이라면 처음보다 더 자주 더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눈에서 멀어지면 불안해할 정도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심지어 뇌의 회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디지털 중독도 알코올 중독처럼 무작정 끊으면 금단현상이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학생들의 견문을 넓혀 주고 싶다며 이렇게 말했다.2학년 정영준 학생은 “솔직히 처음에는 조금이라도 입시에 도움을 받기 위해 동아리를 들었는데 활동하면서 그런 생각은 잊어버렸다”며, “자유롭게 수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3학년 김동현 학생도 “예전에는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된다. 면적은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