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2009년 나온 어리여치 신종이에요. 메뚜기목 중에서 꽃가루받이를 하는 건 이 종이
처음
이라고요.” 그는 가지고 있는 곤충논문이 많았다.“이건 김태우 연구사님과 거미연구회 회원 두 명이 완도의 여서도에서 발견해 작년에 발표한 어리여치 신종이에요. 호랑이를 닮아서 범어리여치라는 이름이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잡초 속에 드나들며 쉬거나 먹이 사냥을 하는 것도 독특하다.수원청개구리는 수원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정작 최근에는 수원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가 이뤄지면서 수원청개구리가 좋아하는 잡초가 있는 논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현재 수원청개구리는 경기도 김포 등 극히 일부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66개였는데, 2009년에는 129개로 거의 2배가 증가했다. 팀장타율 역시 2000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
으로 4할 이상을 기록했다.하지만 LG의 순위는 겨우 한 단계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먼저 홈런과 장타율이 급증한 것은 LG타자들뿐만이 아니었다. 2009년은 프로야구 역사상 손에 꼽힐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왕, 티라노사우루스다. 거대한 타조공룡? 몸이 가벼운 뿔공룡?티라노사우루스의 화석이
처음
학계에 보고된 것은 1890년이다. 하지만 발견된 부위는 고작 골반 일부와 발바닥뿐이었다. 그래서 이것을 연구한 미국 예일대의 오스니엘 마시는 이 화석의 주인이 무시무시한 육식공룡인 줄 몰랐다. 그는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건너 남아메리카에 이주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네이처에 발표한 하버드대 연구팀은
처음
부터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인과 아마존 원주민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췄다. 고고학자들 사이에서는 신대륙인의 얇고 긴 두개골이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인들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이전부터 있었다. 또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1)은 “바닷물 색깔이 꼭 포카리○○○ 음료수 같다”며 “마셔보면 안되냐”고 물었다.
처음
엔 스노클링을 무서워하던 단원들도 날이 갈수록 실력이 일취월장했다. 잠영을 배운 뒤부터는 물 만난 고기 마냥 바다를 누볐다. 공기통 없이 맨몸으로 잠영했기 때문에 기포에 물고기들이 놀라 달아나는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수치들이 달랐다. 수시력법을 조선에 적용하기엔 오차가 너무 컸다. 이에 세종은
처음
으로 조선의 달력을 만들라고 지시했다. 문제는 조선에 맞는 역법을 만들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학 계산이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역을 정할 때 가장 중요한 값은 태양년의 길이(세실)로, 중국은 두번의 동지시각을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연구의 핫이슈는 종균이다. 씨균이라고도 하는 종균은 원하는 맛의 김치를 만들기 위해
처음
부터 넣는 유산균이다. 장 연구원은 “종균은 김치의 유통 기한을 늘이고 맛을 좋게 하는 한편 특별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설명했다.“‘종가집’이라는 브랜드 김치는 꽤 오랫동안 맛이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1977년 일본의 사라카와 히데키 박사와 미국의 앨런 히거 박사 공동연구팀이
처음
개발했어요. 기존의 플라스틱은 탄소원자들이 하나의 고리로 연결돼 있는 구조예요. 이 고리는 원자들이 서로를 붙잡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 틈이 없지요. 그래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거예요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기리가미가 역사적인 순간에 큰 역할을 한 일화도 있다. 1777년 미국의 국기 성조기를
처음
만들 때의 일이다. 이때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재봉사인 베치 로스에게 성조기에 오목 육각형 모양으로 된 별 13개를 그려 달라고 주문했다. 13개의 별은 미국 독립선언 당시 13개의 주를 의미했다. 그러자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