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역사상 처음으로 원전 폐로를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 12일 제12차 국가에너지위원회를 열고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를 한국수력원자력에 권고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로, 2007년 설계 수명 30년을 마친 뒤에도 재심사를 거쳐 연장 운영 중이었다.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바다날씨가 험해 조사를 하지 않습니다. 이번엔 인양을 해야 하니까 무리해서 들어갔죠.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 연구원들이 걱정을 많이 했어요. 그런데 천만다행히도 세 달 내내 바다가 잠잠했습니다. 아무 사고 없이 잘 끝났죠. 이 이야기를 유가족들한테 했더니, ‘애들 빨리 꺼내달라고 하늘도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한 것이 지금까지는 좋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일본 타자들도 처음 100타석 정도는 뛰어난 활약을 보이다가 약점이 드러나면서 성적이 떨어진 사례가 있기 때문에 아직 판단은 시기상조다.상위리그에 진출한 일본과 한국의 타자들 기록을 살펴보면서 두 나라의 스타일 차이는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물리학의 역사는 볼츠만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대한민국내에서 처음 통계물리학 연구를 시작한 학자는 조순탁 교수다. 과천에 있는 국립과학관에는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이 있는데, 그 곳에 이름을 올린 순수 이론물리학자는 아직까지 이휘소 박사와 조교수 딱 두 ... ...
- 안경점 주인 ‘수이비라 아리비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리비싸는 다짜고짜 썰렁홈즈를 시력 검사실로 데려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 생전 처음 보는 시력 검사판이 걸려 있는 게 아닌가!“이건 제가 개발한 ‘울트라 뿅뿅 눈썰미 시력 검사판’입니다. 여러 가지 글자들이 마구 써 있죠? 그 사이에 숨어 있는 글자를 찾아 조합하면 하나의 문장이 됩니다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해요. 이 관을 ‘시추관’이라고 하지요. 지하 수km까지 꽂을 수 있답니다.시추관으로 처음 캐낸 원유는 돌 조각이나 진흙 등 불순물이 많이 섞여 있어요. 그래서 해양 플랜트 플랫폼을 세우고 바다 아래서 캐낸 석유를 1차로 가공하고 있어요. 해저에 단단하게 다리를 세운 뒤, 상판(데크)을 올려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나뉜 2차원 평면으로 가정했다. 그리고 격자에 있는 어느 점(구름)에서 절연파괴가 처음 일어나고, 땅까지 번개가 퍼져나간다고 생각했다. 이때 점 하나에서 옆에 있는 점으로 번개가 움직일 확률을 계산했다.연구팀은 절연파괴가 일어나는 점의 전위를 0, 땅에서의 전위는 1로 가정했다. 그리고 이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끔 ‘나는 누구지? 여긴 어디지’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라니까요제가 어떤 모습인지 처음 알려준 사람은 유클리드였어요. 유클리드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수학교과서 을 쓴 수학자이기도 하죠. 이 책에서 유클리드는 간단한 정의로 기하학을 설명한답니다. 제1권에는 그 중에서도 ... ...
- 우주에서 허드렛일 하는 로봇, NASA 최고의 발명품 뽑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모터스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R2는 상체만 만들어진 상태로, 2010년 국제우주정거장에 처음 보내졌다. R2는 350개의 센서가 달린 예민한 손으로 청소 임무를 수행해왔다.최근 NASA는 R2가 앞으로 우주선 선외 임무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R2에 맞는 다리 개발을 완료했기 때문이다. 다리는 7개의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직 법곤충학은 연구할 분야가 많이 남아있다. 사람이 죽은 형태에 따라서도 곤충이 처음 산란하는 시기가 다른데, 이 부분은 아직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목을 매달아 죽었는지, 상처가 나서 죽었는지, 매장이 됐는지 등 제각각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도 사체감정 업무에 적용하기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