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소개됐다. [연구원이 미생물이 만들어낸 물질의 양을 분광기로 알아내고 있다.]
다음
으로 비소 대신 우라늄으로 호흡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다. 이미 남캘리포니아대의 한 연구팀이 지오박터 균으로 물에 녹는 우라늄 6가 이온(U6+)을 물에 녹지 않는 우라늄 4가 이온(U4+)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통해 산사태 발생 1급과 2급 위험지로 판정 받은 곳은 위험하다.
다음
으로 그 지역에서 계곡을 따라 아래에 위치한 지역이다. 경사지가 다른 곳보다 급하기 때문에 토석류가 흐를 가능성이 높다. 경사면보다 한참 아래라 하더라도 앞에 토석류를 막을 지형이나 구조물이 없다면 위험이 증가한다. 춘천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교수팀은 1997년 ‘터널과 지하공간’ 저널에서 진동에 대한 인간의 반응 특징을
다음
과 같이 요약했다.➊ 진동은 인간이 위험을 알리는 신호로 해석하는 본능적인 감각 대상이다. 특히 사전에 경고가 없으면서 발생원을 파악하기 어려운 진동에 대해 매우 불쾌하게 감지한다.➋ 진동이 소음과 같은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시도는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에번스 교수팀은 배양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
의 3가지 요소가 중요하다고 가정했다. 즉 배아에서 ICM을 분리하는 타이밍과 충분한 수의 세포를 얻는 일, 그리고 세포가 분화하지 않은 채 증식하는 배양조건을 찾는 일이다.이들은 배아가 자궁에 착상할 무렵의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동안 세계 학술권에서 변방으로 경시돼 왔던 아시아 대학들이 최근 눈에 띄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 아래 국제 감각을 높여나가고 있는 아시아 ... 연구를 보장하고 있다. 아시아 최고 이공계 대학을 꿈꾸는 이 4개 대학의 진면목을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해보자.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날이 올 줄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이렇게 생물의 구성요소를 화학적으로 만든
다음
마치 레고처럼 하나의 생명체를 조립하는 연구 분야를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라고 한다. 구성요소끼리 어떻게 이으면 어떤 생물체가 나오는지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유전자 중에서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얘기가 나올 정도로 유명하다.1997년 우리나라 최초의 웹 이메일 서비스(한메일)를 시작한
다음
역시 포털 사이트로 성장하면서 네이버와 경쟁하고 있다. 최근 페이스북에 위협당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최대 SNS 사이트인 싸이월드는 2001년 미니홈피 프로젝트를 통해 급성장했다. 사실 싸이월드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곳에 쓸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과정은
다음
과 같다.먼저 공장의 배기가스가 이산화탄소 흡수제가 담긴 통으로 들어간다. 이 곳에서 이산화탄소는 흡수되고 남은 공기는 밖으로 빠져나간다. 이산화탄소와 결합한 흡수제는 두번째 통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 ...
화학 - 건강 파수꾼, 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기본적인 의식주가 충족되면
다음
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건강이다. 건강한 삶을 위해 우리는 질병 예방과 치료 방법을 찾으려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였다. 질병 예방과 치료에 사용하는 비누와 의약품, 그리고 화학적 진단에 대해 알아보자. ...
같은 실험을 여러 관점에서 보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주어졌던 과제입니다. 이번 호에 첫 번째 팀의 결론과 다른 두 팀의 연구 논문 결과에는
다음
과 같은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첫째, 화장실은 습도가 높다. 둘째, 환기가 잘되는 곳은 습도가 낮다’입니다. 그러나 연구보고서를 통해 세 팀은 조금씩 서로 다른 결론을 얻었습니다. 두 번째 팀은 측정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