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등장하지 않는다. 일례로 큰 공원에 세워진 분수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분수의 급수라인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물이 뿜어지는데, 노즐의 지름에 따라 압력이 조절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줄기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배열했을 때 사용된 점이나 물건의 총 개수를 삼각수라고 한다. 그림과 같이 세 번째인 6 다음의 삼각수는 무엇일까? 바로 10이다. 삼각수는 1, 3(=1+2), 6(=1+2+3), 10(=1+2+3+4)과 같이 1부터 연속된 자연수의 합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10은 삼각수와 관련해 재미있는 성질을 한 가지 더 가지고 있다 ... ...
-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광둥지방의 요리도 먹으러 가요.”“링링, 너무 배불러. 많이 먹었나 봐. 광둥요리는 다음에….”“링링, 그러자꾸나. 난 가서 계산하고 오마.”그런데 허풍이 시무룩한 표정으로 돌아온다.“도형아, 네가 계산하렴. 여기 지갑.”도형은 허풍의 행동에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 계산대로 간다.“저기, ... ...
- 수학 마술에 빠지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마술이었다. 길이가 가장 짧은 끈을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긴 끈을 그 사이에 걸친다.그 다음 두 끈을 잡아당겨 짧은 순간에 중간 길이의 끈과 같은 길이로 보이게 하는 원리다. 그의 마술은 거기서 멈추지 않았다. 이 마술에 스토리를 담아 학생들에게 ‘마술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을 할수 있도록 ...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해 (-a)(-b)=(a)(b)가 항상 성립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a)(b)+(a)(-b)+(-a)(-b)={(a)(b)+(a)(-b)}+(-a)(-b)=a×{(b)+(-b)}+(-a)(-b)=(a×0)+(-a)(-b)=(-a)(-b)(a)(b)+(a)(-b)+(-a)(-b ...
- 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확률을 높이려고 애씁니다. 부질없는 일인데도 말이지요. 복권 당첨은 이전의 당첨이 다음 당첨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만약 조금이라도 영향을 준다면 그 복권은 공정한 복권이 아니겠지요.수학에서 이렇게 이전의 사건이 이후의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 ‘확률이 ... ...
-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1만 원씩 매달 저축할 때 이자를 매달 10%씩 복리로 준다면, 한 달 뒤에는 11000원, 그 다음달에는 11000원에 또 10%의 이자가 붙어 11000+1100=12100원이 되는 식이죠. 단리는 매달 1만 원에 10%의 이자인 1000원을 주는 방식입니다. 짧은 기간에서는 단리와 복리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의 .. ...
- [수학실험실] 사소한 도전, 과일 탑을 쌓아라!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해리엇은 독일의 요하네스 케플러에게 편지로 이 문제를 알렸다. 이에 케플러는 1611년 다음과 같이 추측했다.“3차원 공간에서 한 개의 구를 12개의 구가 둘러싼 구조로 쌓으면 가장 밀도가 높은 배열을 얻게 된다.”이것은 ‘케플러의 추측’ 이라 불렸고, 이 추측은 387년이 지난 1998년 미국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전개 후 소거, 정리하면 1 ...
- 뿔의 부피는 진짜 기둥 부피의 1/3인가요?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밑면의 넓이가 같고 높이가 같은 삼각뿔이 2개 있을 때 한 삼각뿔을 여러 개로 조각낸 다음, 다른 삼각뿔로 조립할 수 있느냐는 문제입니다.이 문제를 조금 바꿔 말하면 삼각기둥이 있을 때, 밑면이 합동이고 높이가 같은 삼각뿔 3개로 조각낼수 있는냐죠. 바로 뿔의 부피가 기둥 부피의 1/3임을 묻는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