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결과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뇌에 생긴 암세포도 줄기세포가 골라낼 수 있는지
현재
연구 중이다. 줄기세포가 발견된 이후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이 모르고 지나쳤던 사실이 있다. 줄기세포가 ‘의사’처럼 손상부위를 직접 복구하는 줄만 알았는데, 알고 보니 ‘간호사’처럼 옆에서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뛰어날지 알 수 없지만, 일단 상용화되면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다.
현재
쓰이는 네모나고 딱딱한 배터리는 각종 스마트 기기의 크기와 두께 등 디자인을 제한해왔기 때문이다. 세상에 없던 유연한 배터리를 탑재할 미래형 스마트 기기는 지금은 아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모습으로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무게 1kg짜리 초소형 큐브위성 하나를 지구 궤도에 올려놓는데 1억 원이 넘는 돈을 냈다.
현재
로선 달에서 암석 한 덩어리를 캐 오는 비용이 수억 원이 넘는다는 의미다. 더구나 애써서 달에서 헬륨3를 캐 오지 않더라도 헬륨3 대신 핵융합 원료로 쓸 수 있는 리튬과 중수소를 지구의 바닷속에서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좋은 일이지. 줄기세포를 화장품에 넣으면 피부에 왜 좋냐는 질문에 연구원은 ‘
현재
연구 중’이라며 끝까지 답을 피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줄기세포를 얼굴에 발라봤자 ‘그냥 불순물’이다. 줄기세포가 얼굴에서 마구 분화해 여드름을 없애주지 않는다. 다만 ‘줄기세포 배양액’은 우리 몸에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성공해 지난해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리튬공기전지는
현재
흔히 쓰이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효율이 최대 2~3배 좋을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이차전지다. 연구팀은 유전자 변형 바이러스 ‘M13’을 이용해 물속에서 마그네슘 분자를 끌어당겨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바깥 공기가 아닌 습기를 제거한 실내공기에 도로 열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
제습기 제조사들은 열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LG전자 홍보팀에 따르면, 모터 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 기술’로 낭비되는 전력을 줄여 공기 출구 온도를 낮췄다. 제습기에서 발생한 열로 다시 전기를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자매지에 게재된 논문을 바탕으로 대학과 기관의 연구역량을 평가하는 척도인NPI에서 6월
현재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에 이어 국내 4위에 올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순위에서는 44위를 기록했다. 다음 목표는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세계에서 10위권 안에 들어가는 것이다.학과장마저 외국인,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계기로 빗물을 모아 도시에 도움을 주는 빗물관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답니다.
현재
학교 내에서도 ‘빗물연구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빗물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겁니다.Q 빗물 활용 기술은 어디에 응용할 수 있나요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소셜네트워크 분석 전문 기업인 사이람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현재
사이람에서는 전국 20개 학교를 대상으로 소셜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각 학교에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 사이의 관계를 점과 선의 연결관계로 분석해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소외된 학생을 찾아 준다 ...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현재
사용하는 ‘12.345’를 12.3.4.5와 같이 여러 개의 점을 사용해 나타낸 것이다.
현재
와 같은 소수점을 최초로 쓴 사람은 독일의 수학자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다. 하지만 당시 그의 표기는 널리 쓰이지 못하다가 1617년이 되어서야 영국의 수학자 존 네이피어 덕분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