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가정해보 자. 부딪치지 않으려면 언젠가 반드시 방향을 틀어야 한다. 이 때 로봇이 서로 현재 위치만 안다면, 다른 로 봇이 언제 어떻게 꺾을지 몰라 자칫 충돌할 수 있다. 그 러나 각자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지 안다면, 장애물과 상대 로봇 모두와의 충돌을 완벽하게 피할 수 있다.INSIDE | 통신에서 ... ...
- 물고기 뱃속에 그 많은 플라스틱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2년간 5대양을 돌아다니며 전 세계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현재 전 세계 바다에는 4만t의 플라스틱이 떠있었다. 과학자들이 예측한 수억t의 1% 미만으로, 터무니없이 적은 결과였다. 연구팀은 나머지 99%를 물고기들이 먹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플라스틱은 바다에서 태양의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문제이며, 기술 도약으로 해결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이온트랩 방식은 성능 면에서 현재 최고입니다. 앞으로도 발전할 거예요. 하지만 최근에는 후발주자인 초전도 방식의 추격도 만만치 않습니다.”정연욱 박사는 “꼭 제가 초전도를 연구해서 하는 말은 아니고…”라며 미소를 지었다. 초전도 ... ...
- 사과 2개를 5명이 나누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메스의 이름을 따서 ‘아메스의 파피루스’라고도 한다. 폭 33cm, 길이 약 5m인 이 책은 현재 대영박물관에 전시돼 있다.고대 이집트인들이 사랑한 ‘공평한’ 단위분수고대 이집트인들은 분자가 1인 단위분수를 유독 선호했다. 린드 파피루스에도 n이 홀수이면서 5≦n≦101인 형태의 분수를 여러 ...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이다. 현재 극지연은 알래스카를 포함해 그린란드, 스발바르, 캐나다 캠브리지베이 등 네 곳에 연구 거점을 마련하고 있다. 이방용 북극환경자원 연구센터장은 “국내 최초로 북극권에 대한 종합 환경변화 측정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칼텍도 그의 업적을 기려 시모어 벤저 석좌교수직을 만들었다. 앞서 말한 앤더슨 교수가 현재 그 자리에 앉아 있다.벤저에겐 특이한 버릇이 하나 있었다. 그는 무엇에 대해 완전한 지식을 얻으려면 그것을 먹어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벤저의 실험실에 그의 이름을 딴 식당이 있었는데, 식탁에는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종은 살아남아 전세계의 바다를 누볐다. 고생대가 끝날 때까지.만약 눈이 아니었다면…현재까지의 화석 연구 결과로는 눈을 가진 최초의 동물은 단연 삼엽충이다. 하지만 삼엽충 이전에 원시적인 눈이 또 있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형태의 눈이기에 화석에서 ...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서적이자, 지금도 꾸준히 나오고 있는 ‘경문수학산책’ 시리즈다. 1994년 처음 나온 뒤 현재 43권까지 나왔다. 수학전공자와 수학교사가 읽고 주변에 알리기 좋은 주제로 돼 있으며 지금도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기본적으로 1000부 이상씩 나가는 스테디셀러다. 대부분이 번역서이며 두 권을 국내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군집비행 사례가 드물다. 하지만 드론 군집비행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추세다. 현재 국내 기술 수준은 미국이나 유럽에 많이 뒤쳐지지만, 공 박사는 직접 개발한 드론 수십 대가 우리 생활속에서 빛을 발 하는 날이 올 거라고 믿는다.“대형재난이 일어났을 때 바다 위나 험한 산처럼 구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예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오랜 시간 지구에 살아남은 모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 대상을 공룡에서 포유류로 갈아탔다.26일이면 새로운 모기가 태어난다우리나라 도시 주택가에 사는 모기는 크게 두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