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그 행성에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진화했을지 연구할 때 결 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현재
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했고 NASA의 ‘오늘의 천체사진’에 3번 선정됐다.
현재
‘내셔널지오그래픽’ 영문 인터넷판에 사진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2009 세계 천문의 해’ 특별 프로젝트인 TWAN(The World At Night)에 참여했다. ‘권오철의 별과 사진’ 홈페이지 (blog.kwonochul.com)를 운영하고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많은 경우는 더욱 어렵습니다. 과연 무엇이 색을 구분하지 못하던 우리 조상들을
현재
의 모습으로 이끌었을까요. 이런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아직은 알지 못하지만, 언젠가 해답을 제시하는 날이 올 겁니다. 많은 영장류학자들이 이 숙제를 풀기 위해 지금 이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전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해 먼저 ‘생각 (뇌파)으로 로봇을 움직이는’ 연습을 한다.
현재
상파울 루 장애어린이지원협회 소속인 환자 8명이 연습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가장 능숙하게 로봇을 조종하는 1등 파 일럿이 시축의 주인공이 될 것이다.정 연구원은 “시축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보면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이 기술을 초고층빌딩에 적용하면 막대한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초고층빌딩에서는 30층마다 1개층을 피난안전구역으로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화장실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층별 화장실 면적이 약 5%인 것을 고려하면 20층마다 1개층을 피난안전구역으로 확보하는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사용을 금지할 권한이 없다’고 판정하면서 드론 꽃배달 서비스가 다시 시작됐다. FAA는
현재
연방법원에 항소한 상태다.물론 국내외 사정이 같지는 않다. 미국은 땅이 넓어 아주 복잡한 도심만 아니라면 집집마다 상당한 거리가 있다. GPS신호를 이용해 ‘대강’ 배달해도 집 근처에 확실히 물건을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했다(최근 ‘코스모스2’가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방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양장본과 칼 세이건 10주기 특별판, 두 종류가 나와 있다.해외의 유명 과학도서를 안방에서 편안하게 우리말로 읽을 수 있는 데는 출판사의 공로가 크다. 1000개가 넘는 출판사 중 과학서적을 전문적으로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외곽에 있는 혜성의 고향 카이퍼벨트가 후보다.토성 고리에서 새 위성이 태어날까혹시
현재
새로 탄생하는 위성은 없을까. 최근에는 행성의 고리에서도 위성이 탄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새로운 시나리오로 주목 받고 있다. 기체형 행성은 암석형 행성과 달리 중력 경계가 불분명해 가장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비밀을 찾는 일은 지금도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 중력파를 발견한 지 약 두 달이 지난
현재
바이셉2 연구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까지 우주의 탄생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표층수에서 더 안정적으로 오래 남는다고 밝혔다.연구에 참여한 랜스피어 연구원은 “
현재
의 나노기술은 30년 전 약학계의 상황과 비슷하다”며 “많은 약품의 성질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로 산업계에서 쓰기 시작했는데, 나노기술 역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