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센서를 부착하고 점프하는 동안 데이터를 수집했어. 이 데이터를 수학 모형으로 만든 뒤 컴퓨터를 이용해 스케이터의 몸을 조정해 높이나 속도를 확인했지. 그 결과 5회전 점프는 인간이 할 수 없으며 4회전 점프가 최대라는 결론을 내렸어. 물론 몸에 무리가 많이 가서 위험하지만, 지금 선수들의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팀은 전신마비 환자인 코플랜드의 뇌에서 운동영역과 촉각영역에 전극을 심은 뒤, 이 전극을 로봇팔에 연결했지요. 그 결과 코플랜드는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일 수 있었어요. 이뿐만 아니라 로봇팔의 손끝에 있는 압력 센서에 뭔가 닿으면 뇌 촉각 영역에 전기 신호가 전달돼 촉각을 느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낱말퍼즐2018년 1월 1일자부터 가로세로 낱말 퍼즐을 시작합니다. 해당 호를 꼼꼼히 읽은 뒤, 퍼즐을 풀어 보세요! [가로]① 식욕을 촉진하는 호르몬. (요리스타 청 참조)② 원자핵과 함께 원자를 이루는 작은 입자. 음(-)의 전하를 띤다. (통합과학 교과서 참조)③ 크기 1mm의 선충으로, 생명과학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개인이 시를 읽고 느끼는 인상을 연구했다. 실험참가자 400명 이상에게 시를 읽게 한 뒤, 느껴지는 이미지의 생생함이나 감정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시를 읽으면서 머릿속에 구체적이고 생생한 이미지가 떠올랐다는 사람일수록 그 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감정적인 변화는 시에 대한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재질이 동일하고 다운의 중량만 350g, 140g으로 다른 두 종류의 점퍼를 마네킹에 입힌 뒤 30분간 온도를 재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 결과, 보온력 차이가 5% 정도로 미미했죠. 그 이유는 다운 점퍼의 원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운은 중심 핵으로부터 수많은 보푸라기가 뻗어 나와 마치 민들레 씨처럼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줄이나 못 없이 안전한 다리를 조립했다. 이 다리는 해체도 쉬웠다. 아군이 모두 건넌 뒤 통나무 몇 개를 빼기만 하면 무너졌다. 반면 그의 후기 작업은 복잡하고 좀 더 공격적이었다. 한 예로 그는 로마의 전투용 마차를 발전시켜 4개의 큰 낫을 단 마차를 고안했다. 마차가 움직이면 바퀴가 돌면서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씨는 자율주행차에 탄 귀갓길에 잠깐 잠을 청했다. 집에 들어가자마자 시은이와 놀아준 뒤 TV를 켰다. 흘러나오는 뉴스에 권 씨는 내일도 편집장에게 혼날 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됐던 9세 어린이가 로봇 다리를 이용한 재활훈련을 통해 스스로 걸을 수 있게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들어가도록 돼 있다”며 벽장에서 안전모와 신발, 양말을 가져와 건넸다. 복장을 갖춘 뒤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갔다. 눈 앞에 엄청난 두께의 쇠문이 나타났다. 에벨링 팀장은 쇠문 위에 달린 센서를 가리키며 “가속기를 가동할 때 방사선이 나오는 만큼 한번 가동하고 나면 2~3일간 아무도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후의 우주 개발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까. ISS 폐기 수순 어떻게 되나ISS 운영이 끝난 뒤 폐기 처분 방식도 문제다. 2001년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 퇴역 당시 러시아는 미르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하면서 마찰로 타게 만들어 소멸시켰다. 하지만 ISS는 길이 73m, 폭 109m,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작업이 20건 가량 진행됐다. 숭례문을 복원할 때 사용한 새로운 부재들도 수십 년 뒤 보수가 필요한 시점이 올 것이다. 이때 보존처리를 한 옛부재가 다시 쓰일 수 있다. 부재의 이력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연구팀은 숭례문의 다음 순서로 최근 나주 불회사 대웅전(보물 제1310호)의 부재 보존 작업에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