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전문지식 이해하는 AI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한 것뿐이었다. 연구진은 인공지능에게 생명의료 분야 전공서적을 읽게 했다. 그 뒤 같은 분야에서 새로 나온 논문의 초록을 읽게 한 다음, 해당 논문의 내용을 질문했다. 그 결과 인공지능의 정답률은 약 92%로 전문 의료진(약 66%)보다 높았다.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도 사람보다 약 11만 배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도 배관과 연결된 스프링클러에서 물이 나오면서 출입문에 수막을 형성했다. 10분 뒤, 화장실의 외벽은 검게 그을렸지만 출입문은 멀쩡했다. 1시간이 지나도 화장실 내부의 일산화탄소(CO) 농도는 1ppm으로 낮게 유지됐다. 노즐에서 물 나와 수막 만드는 화장실 문 노래방이나 목욕탕 같은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맷 데이먼)은 다운사이징 이후 화려한 삶을 누리고 있다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은 뒤 시술을 결심한다.2. 몸집만한 노란색 장미를 든 사프라넥. 소인국의 세상에는 현실세계의 물건을 판매하는 시장도 생겼다. 3. 마지막 잔치를 벌이는 최초의 소인국 사람들. 보드카한 병이면 소인국의 모두가 취할 수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처음에는 피로 회복에 큰 신경을 쓰지 않던 선수들이 데이터를 보고 난 뒤부터는 매일 훈련을 마치고 차가운 물이 담긴 검은색 고무 대야에 옹기종기 들어가 앉을 정도로 피로 회복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선수의 모형으로 실험한 경우에는 활공 초기, 스키와 상체가 이루는 각도를 17도로 만든 뒤 점차 15도, 14도로 좁히는 게 좋은 것으로 분석됐다. 그와 동시에 스키의 V형이 이루는 각도는 20도에서 26도, 29도, 32도로 점차 넓히는 게 유리했다. 또 스키 사이의 간격은 점차 좁히고 스키를 비트는 각도는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돌아가면서 열을 냈다. 조직의 내외부가 모두 1분 만에 200도까지 올라갔다. 해동한 뒤 세포나 조직에는 아무런 손상이 없었다. 조직이 해동되는 과정에서 산화철 입자도 자연스럽게 밖으로 빠져나갔다. 2016년엔 포유류의 뇌를 완벽하게 얼렸다가 해동시킨 첫 연구 사례도 나왔다. 미국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량의 대사체는 도핑 약물이 사라진 뒤에도 길게는 2~3개월 동안 몸속에 남는다. 권 센터장은 “인삼과 같은 건강기능식품 역시 생리적인 대사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며 선수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대사체는 금지약물 400가지 각각에서 2~3가지씩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정상 작동을 방해해 혈류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에 표면장력은 낮추고, 일정 시간 뒤 증발돼 사라지는 알코올을 대신 사용하면 어떨까. 간단한 아이디어지만 누가 알겠는가. 한 잔의 와인에 담긴 과학이 환자들의 오랜 고통을 덜어주게 될지 모른다. 김형수_hshk@kaist.ac.kr네덜란드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니라 낯선 대학 생활에 적응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POSTECH에 진학한 뒤 가장 달라진 부분을 묻자 그는 “생명과학에 접근하는 시각이 더 넓고 깊어졌다”고 답했다. 특히 ‘생명아너클래스’라는 수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생명아너클래스는 교수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형태로 제공한 뒤 답변하는 유형이었다고 한다. 제시문을 제공하고 준비할 시간을 준 뒤 이에 대한 논리적인 답변을 듣는 유형은 연세대, 고려대 등에서도 채택했던 방식이다. 2017학년도의 고려대 융합인재 전형의 예를 통해 논리적인 답변을 검토해 보자. 제시문 (가)에는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