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이 생기지 않으니까요. 때문에 분열을 준비하는 세포는 자신의 유전물질을 복제한 뒤, 분열할 때 염색체를 반반으로 나눕니다. 그런데 생식세포를 만들 때는 이런 유사분열이 일어나면 큰 문제가 됩니다. 수정란의 염색체 수가 세대를 지날수록 배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일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이라는 코너를 연재한 뒤 여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김 교수는 양자역학을 ‘동네 어르신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도 양자역학의 핵심이 되는 전문적인 내용을 피하지 않았다. 대중성과 전문성의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실험을 재개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좀처럼 발견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2년 8월, 모리타 박사팀은 마침내 113번 원소를 확증하는 실험결과를 얻어냈다. 동일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105번 원소 더브늄이 연달아 두 번 더 알파붕괴하면서 101번 원소인 멘델레븀(254Md)이 나타난 ... ...
- [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곡면의 곡률은 가장 많이 휜 부분과 가장 적게 휜 부분을 찾아 각각의 곡률을 구한 뒤 이 둘의 평균을 구해서 측정해요. 극소곡면은 이 평균곡률이 0이에요. 이는 곡면 위의 모든 점에서 대칭성이 있다는 뜻이에요. 즉 밀거나 당기는 힘이 각 점에서 잘 조화돼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지요. 그래서 위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아이디어공모전에서 본선에 오른 학생이 참가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킨 뒤 실제로 특허등록까지 마친다. 사이버영재교육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여름, 겨울 캠프도 있다. 한 학기 동안 온라인으로 교육을 받은 학생 중 우수한 학생을 뽑아 방학을 이용해 집중적으로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IOANNIS RYLANDS. 존 라이랜즈 도서관에서 논리 창을 찾으세요. 알파벳을 순서대로 16 글자씩 뒤로 밀어서 쓴 카이사르 암호입니다. 즉 A는 Q, B는 R, C는 S로 바꿔 쓰면 위와 같은 라틴어 문장을 알아낼 수 있지요. 답이 영어가 아니라서 당황했지요? 암호를 해독해도 그 의미를 알지 못하도록 일부러 다른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한 필이다. 여름에 자주 입는 모시옷은 베어낸 모시풀을 찌고 말려서 잘게 찢어 이은 뒤 베틀로 천을 짜서 만들었는데, 낮에는 농사를 짓고 밤에만 이 작업을 할 수 있어서 더 오랜 시간이 걸렸지요. 이렇게 옷감이 귀했기 때문에 세금을 내거나 거래를 할 때 화폐처럼 교환의 대상이 될 수 있었어요 ... ...
- [2017 메리 크리스MATH 파티] 지적인 크리스마스 파티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유익한 프로그램이 더 많이 남아있거든요. 퀴즈 대결로 뜨거워진 파티!강연이 끝난 뒤 두 수학자를 다시 무대로 모셨습니다. 멘토링 시간이 있었기 때문이지요. 먼저 행사 전에 수학동아 블로그를 통해 미리 받은 사전 질문에 수학자들이 대답해 주었습니다. 수학 공부를 잘하는 방법을 묻는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6명을 대상으로 죽기 이전과 이후에 질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했지요. 그리고 6년 뒤, 맥두걸 박사는 사람이 죽으면 질량이 21.3g 줄어든다고 발표했답니다. 즉, 영혼의 질량이 약 21g이라는 주장이었지요. 하지만 이 주장에 대해 일부 과학자들은 사람이 죽으면 수분이나 공기가 빠져나가기 ...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유도만능줄기세포라고 부른다. 연구팀은 사람의 피부세포를 iPS세포로 만든 뒤 ‘팍스7(Pax7)’이라는 단백질을 주입해 근육세포로 분화시켰다. 또 3차원 배양 방식을 도입해 세포를 근육 기능을 할 수 있는 근육 조직으로 성장시켰다. 이를 이용하면 손상된 근육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 버삭 교수는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