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디자인으로 어디에, 몇 개를 놔야 하는가.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들은 1992년 면적이
100
m2인 거울을 5만 5000개 띄우면 된다고 제안한다. 만일 적도 위 고도 2000~4500km 위에 토성처럼 먼지로 된 고리를 설치해 태양 에너지 2%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지입자 20억t이 필요하다. 이 물질은 지구에서 우주로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오른쪽이 리노바이러스(감기바이러스)로 매우 닮았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지름이
100
nm 정도이고 캡시드단백질을 지질막이 감싸고 있는 구조다. RNA게놈은 8개의 조각으로 나눠져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결정화가 안 되기 때문에 구제역바이러스처럼 원자 차원의 구조는 알 수 없다.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인 ’코로나‘는 실제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태양보다 더 뜨겁다. 이 원인이 처음으로 밝혀졌다.미국 록히드마틴 태 ... 온도가 2만~10만K 정도인데 부분에 따라서는
100
만K를 넘는다”며 “플라스마가 초속
100
Km의 빠른 속도로 코로나까지 솟구친다”고 밝혔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
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비교적 오래 보관할 수 있는 떡은 노화가 더딘 찹쌀로 만든 찹쌀떡이다. 아밀로펙틴
100
%로 이뤄진 찹쌀 전분은 멥쌀 전분(아밀로펙틴 80%, 아밀로오스 20%)보다 비교적 오랫동안 부드럽다. 전분을 구성하는 성분 중 긴 사슬 모양인 아밀로오스가 나뭇가지 모양인 아밀로펙틴보다 빨리 노화하기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식품이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호주 등 구제역 비발생국의 식품도
100
% 믿기는 어렵다. 중국, 베트남처럼 구제역이 자주 발생한 나라의 육가공품은 특히 위험하다. 우선, 원료가 의심스럽다. 구제역에 걸린 소나 돼지를 이용해 제품을 만들었을 수 있다. 건강한 가축을 가공해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영재성 다면평가 전형에서 수학ㆍ과학 지필평가를 본 것으로 알고 있다. 이를 두고 ‘
100
% 입학사정관제 전형’이라 할 수 있는가?우리 학교는 일반고와 달리 대학교와 같은 체계로 교육이 이뤄진다. 원하는 과목을 듣고, 일정 학점 이상을 받아야 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입학생들에게 기초적인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잘 자라지 못한다.기초적인 흙 이야기를 알고 싶다면 일본임업기술협회에서 지은 ‘흙의
100
가지 신비’를 읽어보자. 이 책은 지구가 처음 태어나던 순간부터 흙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원시생물이 육지에 출연하기 시작했을 때와 농경사회가 시작했을 때에는 흙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등 흙에 대한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생태계의 일부독일의 한 생태학자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가 새를 잡아먹는 비율은
100
마리 가운데 4~5마리에 불과하다고 한다. 또 고양이는 새를 사냥할 때 늙고 병든 새만을 먹이로 삼는다고 한다. 새를 공격하는 것도 모자라 새둥지를 털어 새알을 훔쳐 먹는 ‘도둑 고양이’는 실상과는 전혀 다르다.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멈춰선다. 관리자는 감겨져 있던 강철줄이 풀리는 힘도 비행기 무게에 맞춰 조정해 준다.
100
회 정도 사용한 강철줄은 모두 새것으로 교체한다. 만약 와이어가 끊기는 사고가 발생하면 ‘바리케이드’라는 큰 그물망을 세워 비행기가 튀어나가는 것을 막는다.비행기를 항공모함에 내리는 ‘착함’은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