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
m를 단번에 오르는 에스컬레이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구성이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물을 지지해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공개된 에스컬레이터는
100
m 높이까지 하나로 연결돼 더 가볍다.실제로 이 에스컬레이터를 만들고 있는 독일의 ‘헬릭사터’ 사는 에스컬레이터의 속도와 나선의 지름을 최적화해서 사람들이 돌면서 올라가는 중에 어지러움을 느끼지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혼돈에서 출발한다는 의미에서 특정 학문이나 주제에 속하지 않는 분야를 모았다.
100
은 혼돈에서 질서를 찾기 위한 이성의 노력을 담은 철학을, 200에서는 유한한 인간이 절대적인 신을 숭배한다는 뜻에서 종교를 담았다. 300에는 인간이 가족과 사회, 국가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사회학을, 400에는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보통의 질의응답 시스템은 이런 알고리즘 십여 개를 이용해 답을 찾아낸다. 왓슨은
100
여 개의 알고리즘을 이용해 답을 찾는다.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다. 컴퓨터는 애매한 표현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예를 들어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 라고 말하면 컴퓨터는 몇 살쯤이라고 생각할까. 1965년 미국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프로토콜)을 개발해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이다. 차세대 인터넷이 완성되면 통신망에 약
100
억 대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고, 속도도 현재의 10배 수준인 1Gbps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학재단의 FIND(Future Internet Design) 프로젝트는 이보다 극단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현재의 인터넷이 의존하고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우연인 듯 필연인 듯 그 소중하고 대단한 가치를 알아본 것이다. 왕오천축국전은
100
년이 넘는 세월 동안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돼 공개되지 않다가 마침내 한국에 왔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둔황’ 특별전에 전시돼 있다. 앞뒤가 잘려 일부만이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수 있을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성인을 기준으로 한 번에 5병 이상 주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톡스 1병에 든 양을
100
으로 봤을 때 시술에 사용하는 양은 20~30 밖에 되지 않는다. 필러도 지나치게 넣으면 외관상 부자연스러워지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흡수돼 큰 위험이 따르지 않는다. 보톡스나 필러를 넣고 부작용을 겪는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
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지노믹스(유전체학)를 연구하는 데 10의 노력이 필요하다면 프로테오믹스는
100
0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은 국제 협력 없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백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다. 가장 강력한 후보는 ‘마이크로 버블 세척’이다. 지름이 1~수십 마이크로미터(1μm=
100
만분의 1m)의 미세한 기포로 식품을 세척하는 방식이다. 먼저 물과 공기를 혼합한 다음 펌프로 높은 압력을 줘 물속에 미세하게 녹은 기포를 만든다. 수도관안에 공기가 들어가면 갑자기 수돗물 수압이 세지며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디자인으로 어디에, 몇 개를 놔야 하는가.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들은 1992년 면적이
100
m2인 거울을 5만 5000개 띄우면 된다고 제안한다. 만일 적도 위 고도 2000~4500km 위에 토성처럼 먼지로 된 고리를 설치해 태양 에너지 2%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지입자 20억t이 필요하다. 이 물질은 지구에서 우주로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반물질인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
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