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약 20g, 근육을 키우려고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먹는 닭가슴살은 구웠을 때 기준으로
100
g당 약 35g의 단백질이 들어 있다. 실제 고기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다.질로 따져도 콩의 단백질은 고기의 단백질에 그리 뒤지지 않는다. 필수 아미노산의 양을 측정해 점수를 매기는 ‘단백가’ 수치로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 액체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들을 진행해 왔다.[➊ 아시아바느질개미는 몸무게(5mg)의
100
배나 되는 짐을 물고도 천장에 달라붙어 있을 수 있다.][➋ 바느질개미 발바닥의 전자현미경 사진. 발끝에 쿠션처럼 생긴 욕반(금색)과 여기서 분비된 액체(파란색)가 보인다.]진짜 비밀, 두 종류의 액체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예를 들어 대장에 살고 있는 대략
100
조 마리의 박테리아군집에는 인간유전자의
100
배가 넘는 유전자가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게놈연구소(IGR) 스티븐 길 박사팀과 스탠퍼드대 렐먼 교수팀 등 공동 연구자들은 첫 번째 메타유전체학 연구 결과를 2006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화학-우주에서의 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상에 존재하는 수만 가지 물질은
100
여 종의 원소가 화학 결합한 산물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100
여 종의 원소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번 호에서는 원소가 탄생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의 종류를 알아내는 방법과 성간의 분자들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아본다.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를 때까지 피를 빨아 먹는다. 다행히(?) 이 주둥이는 가장 가느다란 주사 바늘보다
100
배는 가늘어서 하루에 서너번씩 찔러대도 아무 느낌이 없다. 이 조그맣고 귀찮은 흡혈귀는 바로 빈대(Cimex lectularius)다.이 책은 우리와 한 집(또는 한 몸)에 사는 귀찮은 가족에 대한 은밀한 에세이다. 빈대와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자세의 각도 등을 좌표로 인식하는 원리다. 특히 뎁스는 팔다리를 올리고 내리는 자세를
100
% 인식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된 상태다.건강한 집은 설계에서부터 시공, 사용과 보수에 이르기까지 늘 사람의 건강을 고려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그 안에 사는 사람도 집을 항상 깨끗이 청소하고 적절한 ... ...
스마트 라이프 만드는 차세대 이동통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전신기를 만들었다. 무선통신의 시작이었다. 그로부터
100
여 년이 지난 오늘날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며 인터넷에 접속하고 내려받은 영상을 감상하는 일은 흔한 광경이 됐다. 그런데 현재의 이동통신 기술은 조만간 여기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전망이다. 4세대 이동통신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없어서입니다. 참고로 이곳은 전원드라마 ‘산너머 남촌에서’의 촬영지라네요.지난
100
년 동안 사람들은 석유를 펑펑 써대더니 그 대가로 기상이변을 초래해 지구촌 곳곳이 홍수와 가뭄으로 시달리고 있습니다. 또 한국은 올겨울 구제역으로 30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을 매몰하는 최악의 사태를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블로그에 글을 쓴 것은 지난해 10월.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
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는 이런 상상 속의 이야기를 현실로 만든다. ME MS 기술은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
만분의 1m)에서 수 mm 크기의 초소형 정밀기계 제작 기술을 말한다. 작고 정교한 기계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대 공대 전기공학부 ‘마이크로시스템 및 나노 기술 연구실’은 바로 이 MEMS를 연구하고 있다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