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d라이브러리
"
제어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식별카드를 갖다 대야 문이 열리는 경우가 많아 이동에 제약이 있다. 고카트는 건물 전체
제어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해 자동문을 열거나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뒤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러 층을 오가며 자율주행할 수 있어 복층 구조의 병원과 호텔, 공항 등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새롭게 생성된 중성자가 더 많아지면
제어
봉을 더 많이 넣고, 반대로 1보다 작아지면
제어
봉을 빼 임계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원자로의 모든 부분에서 k값을 알아야한다. 1872년 오스트리아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루트비히 볼츠만은 위상 공간에서 시간에 따른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데 필요한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그래서 추가적으로 도입한 기술이 로봇의
제어
나 의사결정에서 활용되는 강화학습이었다. 즉, 알파고 프로그램을 복제해서 하나는 검은 돌의 수를 계산하고, 다른 하나는 흰 돌의 수를 계산하면 두 프로그램으로 바둑 게임을 할 수 있다. 그 승패에 따라 이긴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소위 한 분야의 ‘대가’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염한웅 기초과학 연구원(IBS) 원자
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노벨상은 업적이 나오고 평균 15년 정도 지난 뒤에 수여한다”며 “어떤 연구가 원숙한 뒤에야 그 연구 아이디어의 단초를 제공한 사람을 찾아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더 심하게 덜컹거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환기법을 적용하면 초반에 어뢰의 자세를
제어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쿠아맨은 저스티스리그 히어로들 중에서 가장 인지도가 낮다. 심지어 DC의 경쟁사인 마블은 아쿠아맨 같은 수중 히어로에는 관심조차 두지 않는다. 하지만 현실 세계는 반대다. 러시아,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모양을
제어
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며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모양을 빠르고 쉽게
제어
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3일자에 실렸다.doi:10.1126/science.aan562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디바이스 제작 등 활동 내용은 다양하다. 성과도 있다. ‘BD 스퀘어드’ 팀은 아두이노(
제어
용 기판)와 뇌파 측정기를 이용해 뇌파로 조종하는 드론을 제작했다. 드론을 조종하려는 의도를 가진 뇌파를 포착한 뒤 드론 조종기 없이 뇌파로 드론을 움직이면 어떨까. 이를 위해 환경생태공학부,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일반 산업체에서 쓰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49큐비트의
제어
가 가능하다면 지금까지 개발된 양자컴퓨터와는 비교되지 않을 만큼 성능이 월등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이미 ‘알파고’의 성공을 통해 인공지능(AI) 연구에서도 가장 앞서있다. 최근에는 국제학술지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쪽 다리만으로도 중심을 잡고 설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전한
제어
가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과 달리 사이보그의 상체는 절반만 로봇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몸의 무게 균형을 잡아주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센서 기술과 컴퓨터공학의 발달에 힘입어 실시간으로 무게 중심의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가장 적합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삭마에 의해 비대칭적으로 재진입체가 깎이면 방향
제어
에 실패할 수 있다. 반면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많은 영향을 준 러시아나 중국의 다탄두 미사일의 재진입체는 KN-14와 같은 반구 형태다. 러시아의 다탄두 미사일인 ‘RS-24 야르스(46쪽 사진)’와 중국이 한창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