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요. 한양대학교 임창환 교수는 “다른 생각을 할 때도 로봇팔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로봇팔을 움직이면서 모든 촉각과 관절의 움직임, 중력의 정도까지 느낄 수 있도록 연구 중”이라고 말했어요. 색을 소리로 본다?! 아이보그사람은 다른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구현하더라도 기존에는 시야를 감독이 제어했다. 남자친구를 바라보다가 잠시 한 눈을 팔면(카메라를 돌리면) 그가 “자기야 어딜 봐, 나를 봐야지”라고 말하는 훈훈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그러나 VR은 시선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 한 눈을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람 손목과 달리 45~70도로 움직이는 데 그쳤다. 움직일 때마다 손목 부위가 덜렁거려 제어도 어렵다. 연구팀은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이 서로 번갈아 당겨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모방해 두 개의 유압 실린더를 단 액추에이터를 개발했다. 이 액추에이터를 로봇 팔에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걸을 때 골반이 흔들립니다. 돌림힘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사람과 달리 로봇은 돌림힘을 제어하며 안정적으로 걷지 못해요. 그래서 사람처럼 걷지 않는 로봇을 만들면 어떨까 생각했어요. 이 로봇은 ‘나비’입니다. 두 다리가 앞뒤가 아닌 양옆으로 움직이도록 설계했지요. 마치 꽃게처럼 옆으로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팀이 가상으로 만든 비행생명체(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스스로 날아다닐 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땅에서도 하늘에 있는 드론을 정교하게 조종할 수 있답니다.” ➊ 드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싱글보드 컴퓨터.➋ 군집비행에 사용하는 드론. 세 번째 비행 _ 수십 대의 드론을 조종하는 군집비행드론은 재해 현장처럼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곳을 조사하거나 물품을 공급하는 데 쓰여요. 이때 한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들어가는 관측장비의 성능을 시험했어요. 광학 시스템과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했지요. 전 관측장비의 필터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해 개기일식을 관측하였습니다. Q. 코로나그래프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는 어떤가요?앞으로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매우 정교해야 해요. 이 과정에서 정보를 외부로 보내고, 외부에서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신호를 안으로 보내 주는 원격 통신 기술도 필요하지요. 세포의 대부분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노 로봇이 직접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는 기술도 매우 중요해요. 현재 이 기술을 실현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또 각 연구원이 앉는 자리엔 발사체에 연료를 얼마나 공급할지, 온도를 어떻게 제어할지 등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컴퓨터와 헤드셋이 설치돼 있었답니다. 이정원 팀장님은 “이 통제실에서 각 연구원은 원격으로 자신이 맡은 부분을 조종한다”며, “모든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모두가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7월 본선에 진출할 8개 팀이 가려졌다. 나노 패터닝 기술로 금속의 색상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고, 나노 광(光)안테나를 이용해 ‘식물 사이보그’를 제작하는 등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됐다. 이후 약 3개월간 8개 팀에는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졌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