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등 기관사는 “일반 선박은 내연기관 엔진으로도 충분하지만, 이사부호는 정확하게 배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 추진 장치를 채택했다”며 “다이나믹 포지션 기능이 해양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7월 말까지 엔진, 추진 공급계, 전자탑재장치, 열제어화재안전계 등 각 시스템을 최종 점검하고 분석해 시험발사에 대비할 계획이다. 10월 시험발사 앞두고 조립 마무리현재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는 10월로 예정된 시험발사에 사용될 시험발사체 FM 조립이 ... ...
- Part 3. 국경을 초월한 ‘no wall’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나라에 있다면 필요한 경우 언제든 만나 연구할 수 있습니다. 엠마누엘 트렐라 연구원은 제어 이론을 다루는 수학자입니다. 우주선과 관련된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할 때 중국의 연구원에게 질문을 하다가 아예 중국까지 건너가서 함께 연구하고 왔습니다. 외국 연구자들이 좋은 연구 과제를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빠른 속도가 무기지만 조금 산만한 아들 대쉬, 그리고 엄청난 초능력을 갖고 태어났지만 제어가 안 되는 막내 잭잭까지 보살펴야하기 때문이지요. 아빠 미스터 인크레더블과 아들 대쉬가 책상 위에 ‘새로운 수학책’을 두고 대면하는 장면은 예고편부터 등장합니다. 수학 문제를 물어보는 대쉬 ...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다. 맥카드는 중성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이다. 중성자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원자로 성능과 안전의 핵심 요소인데, 그동안은 외국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활용해 왔다. 맥카드는 해외에 수출하는 연구용 원자로에 적용됐다. 핵융합 및 플라스마 연구는 황 학과장을 비롯해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구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희귀동위원소 빔을 이용하면 양성자와 중성자의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LAMPS가 사용된다. 일부러 중성자가 많은 원소를 제작해, 무거운 원소가 생겨난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홍 교수는 “이런 식으로 주기율표 118번까지의 원소가 발견됐고, 대부분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사하기 때문이다. 강 수석연구원은 “가속기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토목과 건축, 제어, 진공, 전자 등 여러 분야에서 고도의 첨단 기술이 필요하다”며 “양성자가속기와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구축하면서 터득한 기술적인 노하우를 중이온가속기 라온과 공유하면서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따라 전류(I)는 자기장(B)의 방향에 따라 힘(F)을 받는 방향이 결정된다. 자기장의 방향을 제어할 때에는 N극과 S극을 가진 2극 자석을, 가속관의 끝부분에서 빔을 집속할 땐 4극 자석을 활용한다. 장 팀장은 “라온 구축에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무수히 많지만, 초전도 자석은 그 중에서도 ‘끝판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상공 최고 30km까지 올리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이 시기에 이르러 통신뿐만 아니라 기구 제어에 전자공학 기술을 적용하기 시작했다.현재 과학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이 쌍벽을 이루고 있다. 일본도 과학기구의 연구 역사가 짧지 않다. 1950년대 고베대 천문학자들이 연구를 시작해, 1971년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명료하다. 재학생들은 1학년부터 3학년 1학기까지 공기역학과구조역학, 추진 그리고 제어 등 4개 분야에 대한 기초를 다진다. 그리고 3학년 2학기부터는 관심 분야를 정해서 심화학습을 진행한다. 여 교수는 “반도체나 바이오 등 다양한 최신 분야를 교과과정에 넣을 수도 있겠지만, 우주항공과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