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콩을 다년생 초본으로 개발한 주역 장권열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합쳐 2백14만ha 정도 뿐이다. 콩은 원래 우리나라 농민들이 논두렁이나 산비탈에 심거나
밭
에 간작으로 심어왔다. 장교수는 그런 재래농법의 테두리안에서 생산량이 늘게 될것을 바랄뿐이라는 것을 굳이 강조한다. 6.25의 전진이 아직 자욱한 1952년에 대학을 나온후 30여년 동안을 콩연구로만 일관해온 ... ...
아프리카의 모래해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그러나 그런 장소를 찾을수가 없다.한동안 방황하던 끝에 다행히도 파일럿이 평평한 수수
밭
을 발견했다. 비상한 각오로 착륙을 시작했다. 몇번이나 바운딩을 거듭하다가 겨우 멎었다. 기체밖에는 마을사람들이 이상한 표정으로 둘러서 있었다. 이 마을사람들로 부터 대지를 덮어오는 모래에 대한 ... ...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작업인데 실제 작업광경을 복원해놓았다. 겨리쟁기질은 두마리의 소가 쟁기를 끌며 논
밭
을 가는 것으로 역시 실제 상황을 재현해놓았는데, 두마리의 소는 순수한 한우(韓牛)를 박제한 것이어서 더욱 흥미롭다. 이 겨리쟁기는 토질이 거친 중북부산간지대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전시된 것은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수심이 깊어지면 우선 그런 오리류들은 취식이 불가능하게 된다. 가까운 거리에 논이나
밭
또는 유휴초지 등이 있어야만 벼나 그 밖의 낟알 또는 잡초 씨나 뿌리와 구근(전분) 등을 취식할 수 있으며 하천에서는 수면에서 일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뿐, 잠은 뭍에서 자는 것이다. 따라서 맑아진 ... ...
바다가 화석이 되었나 안데스의 소금대평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섭씨 영하 10도나되는 찬바람속을 자전거로 달려온다.식염용으로는 퇴적된 표면을
밭
을 일구듯이 파내서 삽으로 모우기만 하면 된다. 한 사람이 하루 2t이상 채취할수있다. 가축용 소금은 완전히 말라 두껍게 퇴적된 장소를 골라 도끼같은 것으로 사방 30cm의 블록처럼 잘라낸다. 하루 2백개 정도가 ... ...
경제적 이유에서 시작되었다고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사제계급)들은 소의 신성화는커녕 도살을 장려했다는것이다. 그런데 경작지가 늘고
밭
을가는일에 소가 사용되면서 '죽을때까지 힘을쓰는 소의 능력'이 높게평가됐고 따라서 소를 잡아먹는것보다 일을 시키는데 좋다는 인식이 생기게 됐다. 그런데 이때쯤 힌두사회에 불교의 살생금지계율이 ... ...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잎이 많고 더부룩하게 자라며 베어서 말려 가지고 불씨로 이용한다. 제비쑥은 산기슭,
밭
둑 등에 자라며 잎의 모양이 보통 참쑥이나 약쑥보다 길고 깊이 패어져 있다. 역시 어린 것을 식용으로 쓰며 자라면 30cm 이상의 꽃대가 서고 꽃이 핀다. 쑥의 성분과 효능은 예로부터 여러가지로 알려져오고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주목을 끌만한 가치가 있는 작물이었다. 어쨌든 이러한 작물들을 재배하기 위해서
밭
을 갈고, 씨앗을 뿌리고, 수확을 하는데는 무엇보다 농기구가 필요했다. 우선 쟁기는 청동기 시대 이후 경제적 의미가 가장 높았던 농기구였다. 더우기 생산성이 높은 점토질 토지가 집약적인 곡물생산을 위해서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수목에만 날라드는 성질이 있음을 알수 있다. 만약 수목이 없으면 풀
밭
에서 날으고 풀
밭
이 없으면 맨땅위에도 날아드는 것을 볼수있다. 그러다 근처에 수목이 있으면 그쪽으로 재빨리 날아가 버린다. 가끔 호랑나비가 도시의 지붕위라던가 빌딩위를 날으는 경우가 있기는 하나 그것은 어떤 의미가 ... ...
생태계의 미묘한 취약지구 사막이 늘어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무시한 생산지상주의 때문에 지력이 떨어져 카자프스탄의 광대한 보리와 감자
밭
은 반사막화해 바람에 의한 침식이 심각하다. 소련전토의 70%에서 표토의 유실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아프리카의 사막화는 무리한 관개농업 외에도 연료로 쓰기 위한 삼림의 무분별한 벌채에 의해 일어났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