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밭"(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재분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시작됐다. 1987년에는 도입된 유전자의 실용성을 실제로 밭에서 시험할 단계에까지 도달했으나 그 당시에는 허가를 얻지 못했다.21조원 투자될 게놈프로젝트1992년 말까지 40여종 이상의 식량 및 섬유작물이 형질전환될 것이고, 세계 20여개국에서 약 6백가지 이상의 ...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과학동아 l1992년 11호
- 한 가운데로 해수를 활발히 수송함으로써 해양생태계의 정화를 담당하고 있다. 썩은 밭을 갈아 일구는 농부의 삽질같은 이러한 행동을 생물교반(bioturbation)이라고 한다 ...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과학동아 l1992년 09호
- 1990년에 기존 과단위별 연구에서 과제별 연구로 바꾸어 물을 댈 수 있는 무논, 천수답, 밭벼, 물이 깊거나 저습지논(태국, 수심이 2,3m) 등 네가지의 재배환경 조건별 과제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외 몇가지의 작은 과제도 운영되고 있다.여기서 우리나라와 관계가 많은 관개수를 이용한 ...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를 수집하여 먹었을 것이고 다음에는 야생벼의 종자를 채취하여 가지고 와서 자기의 밭에 심기도 하고 열매가 익으면 따 먹기도 하는, 다시 말하면 벼를 심고 수확하는 재배기술을 몸에 익히게 되었다. 그후 이 벼는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인도에서는 기원전 약 ... ...
- 「지구의 산소탱크」열대우림이 사라진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설탕 수요가 급증하자 포르투갈은 1530년부터 브라질 연안의 열대숲을 대규모 사탕수수밭으로 만들어 버렸다. 노동집약적인 설탕생산에 브라질 원주민들을 부리기 어려웠던 침략자들은 아프리카에서 흑인을 잡아와서 노예로 부렸다. 유럽 각국은 앞을 다투어 열대지역을 정복했고, 식민 자본주의는 ...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이 인양작업에 투입됐는데 시야거리가 제로인 칠흙같은 평균수심 20m의 뻘밭에서 15°정도 기울어 있는 배를 건져내는 일이 결코 용이할 수 없었다. 동서남북이 전혀 구별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잠시만 물속에 머물러 있으면 시속 2.5노트의 유속때문에 정신이 혼미해졌다고 한다.배를 한꺼번에 들어 ... ...
- (3) 땅속에서 썩는 플라스틱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수 없으나 현재의 환경문제가 심각한 것을 감안하면 당분간 쓰레기주머니 쇼핑백 그리고 밭에 쓰이는 멀칭(mulching)필름용 등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하겠다.현재 미국에서는 폴리에틸렌에 전분을 6~90%까지 섞은 생붕괴성 플라스틱이 실용화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남아도는 옥수수 ... ...
- 뿔이 무기인 노루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아주 희귀한 변이종인 횐 노루를 잡았다는 기록이 꽤 많이 나온다.옛날에는 밤에 밭으로 내려온 노루가 곡식을 먹은 뒤 돌아가는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포획했다. 아울러 몰이사냥도 즐겨 했고 노루의 모성애를 이용하는 특이한 노루사냥법도 개발해냈다. 암노루가 새끼를 낳는 단오 무렵, 피리를 ... ...
- 고슴도치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소름이 끼칠 정도다.고슴도치는 밤이 좋아평야지방이나 산지에 두루 서식하며, 숲 밭 초원 때로는 정원에서 살기도 한다. 그러나 원래는 야산이나 삼림이 우거진 곳을 좋아한다. 대개는 나무가 빽빽이 들어서 있는 곳, 특히 광릉(光陵)처럼 활엽수가 우거진곳에서 서식한다. 그들은 관목숲 고목 바위 ...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과학동아 l1991년 08호
- 가끔 들기는 해도 유럽과 같은 그런 혹독한 흉년이 들지는 않았다. 또 목축보다는 논 밭농사가 주였기 때문에 성질이 유순하고 느긋하다. 그래서 굳이 바다로 나가 식민지를 구하는 일을 할 필요가 없었다. 식사에 대해서도 특별히 감사의 기도를 드릴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이러한 자연조건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