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물쑥과 제비쑥의 어린 잎은 먹지만 오래된 잎은 먹지 못한다. 참쑥은 양지쪽 개울가나 논
밭
둑에서 발견되는데 일은 봄부터 새싹이 돋는다. 이 쑥은 그 자체로 약용도 되고 식용도 된다. 쑥떡은 과거에 아주 고급음식에 속했고 쑥범벅 쑥국 쑥죽 등 이용범위가 매우 넓었다. 특히 삼월 삼짓날에는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세마리의 말이 모는 수레(고대 바빌로니아), 곰(사발)을 쫓는 세 명의 사냥꾼(인디언),
밭
을 가는 쟁기(유럽). 이외에도 나라와 시대에 따라 그 이름은 매우 다양하다. 그래도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역시 국자의 모습이다.헤라여신의 질투별자리를 이야기할 때 북두칠성은 큰 곰자리의 엉덩이와 ... ...
자원절약과 오염방지의 이중효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여기에서는 지난 10년간 약 30만3천 t의 농업용 폐비닐을 수집했다. 이 물량은 전체
밭
면적의 2.7배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폐비닐은 약 90만 t 가까이에 이르고 있어 수집비율은 5% 내외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 열분해방법 등 기술개발 절실재활용이 가능한 산업용 폐기물은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평안북도의 운산입니다. 1·4후퇴 때 내려온 실향민이지요. 강원도의 높은 산 옥수수
밭
을 보니까 고향 생각이 납니다. 탐사 도중에 본 풀이나 나무도 어릴 때 본 것들이 많았습니다. 한 예로 야광나무라고 하는 것은 고향에서 '아광나무'라 불렀는데 가을이면 골짜기에 빨간색으로 꽉 들어차곤 했지요. ... ...
PART 2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온실에서는 로봇에 의한 작물수확, 물과 비료의 공급 등이 이뤄지고 있다. 또 논·
밭
을 자동으로 갈아주는 로봇트랙터도 등장했다.■인류복지로봇일본에서는 화재가 일어나면 로봇이 인명구조에 나서고 있다. 또 지체장애자의 손·다리·팔을 대신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수족이 개발되고 있다 ... ...
내 손으로 계획한 21세기의 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펼쳐지는 넓은 채소
밭
. 무공해로 길러지는 갖가지 채소들이 아침 햇빛에 싱그럽다. 채소
밭
에 물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들이 계속 도리질을 하면서 뽀얀 물줄기를 사방에 뿜는다. 허공에서 가늘게 부서져 고운 무지개를 만들어낸 후 채소에 내려 앉는 뽀얀 물방울들은 5월의 신선함과 풍요로움을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하라파로 가는 길가에는 푸른 들판이 끝없이 전개돼 있다. 이 들녘에는 유채꽃
밭
과 귤
밭
이 펼쳐져 있고 한 폭의 그림같은 마을들이 한가로이 누워 있다. 이 곳의 기후는 12월에서 2월 중순까지의 겨울철이 지나면 금세 혹서의 계절이 된다. 보통 45℃를 오르내리는 지독한 더위가 시작되는 것이다 ... ...
과학적 사고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마름모 또는 흰색의 마름모 도형이 나오게 되는 비율은?①1/3 ②1/7 ③1/215. 한 농부가 그의
밭
에 사는 쥐를 잡아 조사하였더니 그림과 같이 큰 쥐와 작은 쥐 그리고 흰 꼬리를 가진 쥐와 검은 꼬리를 가진 쥐가 있었다. 쥐의 크기와 꼬리의 색깔 사이에는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가?①관계 없다. ②관계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경박호(鏡泊湖)가 있다. 주변의 산은 곰보같은 구멍 투성이인 화산 바위가 많고 평지는
밭
을 일굴 수 있는 두께가 60cm 정도의 표토뿐이며 그 밑에는 용암이 깔려 있다. 북쪽으로 약 12km 되는 곳에는 현무호(玄武湖)가 있다. 옛날 발해군의 무예를 닦던 연병장이라는데 지금은 80ha정도의 양어장이 ... ...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탈출한 기생벌의 유충은 고치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하며 다음해 봄에 배추벌레가
밭
에서 서식할 경우 배추벌레고치벌도 성충으로 되어 고치에서 우화되는 것이다.이 외에도 많은 기생벌이 있는데 그중 몇가지 예를 든다면 솔나방의 알에 기생하는 송충알벌(Trichogramma dendrolimi) 나비목에 기생하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