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김재동, 이준호 이 분들도 취재해보세요. 저랑 비슷한 또래인데 전문가 수준이에요.” 건혁 학생은 어릴 때부터 파브르 곤충기를 많이 읽었다고 했다. 어린이용 파브르 곤충기는 실제와 달라서 별 도움이 안 됐는데, 김진일 교수의 완역본은 학명과 실험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서 연구에 ... ...
- [이달의 사물] 천일염과학동아 l2015년 10호
- 天日鹽)이란 이름이 붙은 소금, 정말 비위생적인 걸까요?천일염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907년입니다. 갯벌을 다져서 염전을 만들고 바닷물을 가둔 뒤 증발시켜 소금을 만들었죠. 김치나 젓갈, 장의 맛을 살리는 재료로 국민들의 사랑을 오랫동안 받았습니다. 그러다가 1985년, 소금 생산량을 늘리기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쇠똥구리가 버둥거리게 만든 모습을 누군가 봤으면 미쳤다고 했을 거다. 그래도 그건 낫다. 사거리에서 벌이 든 통을 들고 빙글빙글 도는 모습을 옆집 처녀가 봤다면, 아마 내게 마귀가 씌였다고 생각했을 거다. 송충이의 독성을 실험하기 위해 불쌍한 내 피부를 혹사시킨 정도는 이야깃거리도 안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짓말을 하는 게 유리한 것 같다. 정 : 1부터 9인 경우와 10인 경우를 나눠서 계산하는 건 어떨까.엄 : 좋은 생각이다. 10일 경우에 상수 C를 도입해서…. (외계어, 외계어, 외계어)이 : 그것도 어렵다. 둘 다 10을 가졌을 때, 철수가 10일 때, 영희가 10일 때 등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또 한 시간. 토론을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주하던 독일인, 아담샬 신부가 서양 수학을 토대로 만들었다. 시헌력이 조선에 들어온 건 인조 26년(1648년)이었다. 그 때까지 세종이 만든 칠정산을 사용하던 조선에서는 시헌력 채택을 두고 치열한 당쟁이 벌어졌다. 시헌력을 시행하자고 주장하던 무리는 칠정산에 한계가 있어 오차가 나기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산에서 자라는 갈대는 없지요. 다시 말해, 산에서 만나는 키큰 식물은 갈대가 아니라 무조건 억새입니다. 둘은 색깔도 완전히 다릅니다. 억새는 주로 은빛이나 흰색을 띠고 갈대는 고동색에 가깝지요. 키로도 구분할 수 있는데, 억새는 대부분 120cm 정도로 사람보다 작고 갈대는 2~3m 가량으로 껑충하게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해보지 못한 게 조금 아쉽습니다.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를 찾아 미리 연구를 해 보는 건 정말 좋은 경험이거든요. 연구 환경을 직접 경험해 보면, 나중에 진로를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본인이 상상하던 연구가 맞는지 확인했으니까요. 조금이나마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것도 매력이고요.“ ... ...
- 만화로 창의력 쑥쑥! 가족 사랑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정말 궁금하셨죠? 헤헤~.그런데 만화를 잘 읽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가장 중요한 건 만화를 숨어서 읽지 않는 것이옵니다. 만화는 거실에서 당당하게 읽어야 한다고 하옵니다. 그리고 만화와 관련된 책을 읽어서 만화 속 지식을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사와요.그러면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세계적인 명화가 잔뜩 걸려 있었지. 하지만 나를 놀라게 한 건 따로 있었어. 괴도키드가 훔쳐가겠다고 말한 작품과 똑같은 그림이 10점이나 걸려 있었다는 사실! 괴팍한 미술관장이 괴도키드를 속이겠다고 가짜 9점과 섞어놓았지 뭐야? 그 녀석보다 빨리 찾아야 하는데, 도대체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제법 전문가 느낌이 났다.“외계행성을 가진 중심별을 관측하려면 별의 밝기와 주기가 관건입니다. 이 두 가지가 잘 맞으면 고가의 장비 없이도 외계행성의 중심별을 찾을 수 있죠.” 동아리를 담당하는 조용현 과학교사(위 사진에서 맨 왼쪽)는 학생들이 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우며 이 같이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