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이용해 분석한 결과가 28% 가량 더 정확했다.해양동물 추적연구는 지난해에만 약 140
건
의 연구 성과가 발표되는 등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동물추적연구 분야에서 아직 걸음마 단계다. 철새추적연구도 AI가 아니었다면 하기 어려웠을 정도다. 경제적인 이윤이나 사람의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기존보다 200배 많은 빛을 방출했다고 발표했다. 백조자리 V404가 이렇게 많은 빛을 쏟아낸
건
1989년 이후 처음이다.지구에서 78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 V404는 1938년과 1956년에도 폭발적으로 밝아진 적이 있다. 당시에는 별이 내부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돼 폭발하는 ‘신성(nova)’으로 알려졌으나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해충과 미생물이 번식할 환경을 없애주면 문제는 자연스럽게 예방된다는 것입니다. 목조
건
물 바닥에 많이 깔려 있는 비닐 장판 대신 한지 장판을 쓰고(절에 가도 비닐을 깐 곳이 많습니다. 따뜻하고 습한 비닐 아래는 해충과 미생물의 천국이죠), 벽지를 한지 같은 종이로 바꿔 주기만 해도 한결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달에서 온 운석까지 고향도 다양했답니다.“남극에만 특별히 운석이 많이 떨어지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새하얀 남극에선 운석이 더 쉽게 발견되죠. 과학자들은 지구 생성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운석을 연구하고 있어요.”운석에 흠뻑 빠져있는 명예기자들에게 이종익 박사님은 “운석을 연구하는 ... ...
[교육] 또 다른 세계,토러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주장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지구가 구 모양이라고 믿기 시작한
건
훨씬 나중의 일이었다. 극지방과 일부 대륙의 중 심부는 19세기까지 지도로 그려지지 않았다. 남극과 북극을 포함한 모든 지역을 지도로 그리기 전까지는 지구가 구 모양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수 있는 200여 가지의 다양한 전시물들이 가득했지요.전시관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은
건
1층에 있는 ‘어메이징스윙’이에요. 어메이징 스윙은 알록달록한 밸브에서 떨어지는 물줄기를 피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그네예요. 그네가 앞뒤로 움직이는 주기를 계산해서 그네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쪽에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묵직함, 바람을 가르는 선수의 전략을 눈으로 보고 느낀 경험이었다. 경험을 토대로 말하
건
대 요트 설계 부터 경기 전략까지, 요트 경기는 여느 스포츠보다도 과학적인 스포츠가 틀림없다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내용도 쉽게 잊어버린다. 그렇다고 해서 실험처럼 모든 과목을 직접 경험하고 배운다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블록이 주목 받고 있는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다. 블록을 조립하고 쌓으면서 노는 동시에 공감각적 인지 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유용한 과학 지식도 배울 수 있다. 직접 손으로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캐럴은 숫자 42를 매우 좋아했다. 그래서 작품 여기저기에 42를 숨겨 놓았다. 대표적인 예가 장미를 빨간색으로 칠하느라 정 ... 이번 기회에 앨리스 시리즈를 다시 보며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수수께끼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앨리스를 즐기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말했다.결국 우리의 입시가 사라지기 전까지, 이들의 도전은 계속될지 모른다. 앞으로도 쭉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