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읽어 내서 해독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하지만 오늘날의 바이오닉 기술들도 모두 상상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50년, 아니 30년 뒤에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머릿속에 다운로드 받는 것이 당연해질지도 모른다. 기억을 칩 하나에 저장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1980년대 초, 최초의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공간에 2주 동안 지내게 하면서 자기 전 종이책이나 전자책을 읽게 했다. 참가자들은 모두 동일한 양의 빛을 받는 공간에서 지냈으며, 종이책이나 전자책을 저녁 6~10시까지 읽고 바로 잠자리에 든 뒤 아침 6시에 일어났다. 먼저 5일간 실험을 진행한 뒤, 나머지 5일은 같은 조건에서 종이책과 전자책을 ... ...
- [Origin] 부쩍 늘어난 지구형 행성 “우리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편집자주과학동아는 지난 31년 동안 한국과 세계의 과학 소식을 추적하고 기록했습니다. 당시에는 첨단이었지만, 지금 보기엔 낡았거나 갱신된 내용도 많지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실제 기사로 알아봅니다. 기사는 언제든 과학동아 디지털매거진 디라이브러리(dl.dongascience.com)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태아의 혈관이 견디지 못할 뿐만 아니라, 둘의 혈액이 섞여 응고될 경우 엄마와 태아 모두가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다만 가끔은 태아의 세포가 엄마의 몸에서, 또는 엄마의 세포가 태아에게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임신 20주 여성들의 혈액 속 DNA는 20%가 태아의 것이라고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입자 모두 오른손만 사용할 수 있으면, 서로 악수하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 두 입자 모두 비상대론적 입자로 바뀔 수 있습니다. 반면 빨간 입자는 오른손만 쓰고 파란 입자는 왼손만 쓸 수 있는 경우 두 입자는 서로 악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상호작용 없이 상대론적 디랙 입자로 남아 있을 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카멜레온 매력 지닌 프런클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어떤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춤을 출 때 전체 좋은 집합의 절반 이하 집합에 모두 속한 남자가 있을 확률이 1에 매우 가깝다는 것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동전의 앞면이 나올 확률이 상수 P로 고정돼 있고, 전체 사람 수가 무한히 커지면 절반 이하의 좋은 집합에만 속한 남자가 있을 확률이 ... ...
-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어떤 사연이 담긴 곡일까요? 제목부터 심상치 않습니다.이 곡은 네 명의 멤버가 모두 참여해 만든 곡인데, 가사는 보컬 크리스 마틴의 작품입니다. 헤어진 연인에 대한 사랑과 미안한 마음을 담은 노래지요. 지나고 나서야 옆에 있던 사람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소중한 사람이었는지 깨닫고 후회하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말을 이었다.“너희 아빠는 신세계 호가 다른 목적지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어. 우리 모두 그랬지. 네 엄마도. 하지만 여론은 우리 생각과 반대였어. 그래서 비밀결사대를 조직했지. 우주선이 멈추지 못하게 엔진을 살짝 파괴할 계획을 세웠어. 너희 아빠는 엔지니어였기 때문에 나중에 고칠 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합쳐 악의 무리를 물리치는 이야기예요. 당시 큰 인기를 끌면서 총 7편의 후속 작품들이 모두 흥행에 성공했지요. 2007년에는 최초 개봉 30주년 기념 디지털 복원판이 재개봉했어요. 당시 한국 애니메이션 1위 기록을 뛰어넘으며 전국 75만명이 관람을 했답니다.브이센터는 다양한 전시물을 관람만 하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물체를 보고 싶을 때 현미경과 망원경이 필요해요. 이것들은 모두 ‘렌즈’를 이용하는 장치랍니다.현미경은 크게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로 이뤄져 있어요. 대물렌즈는 우리가 확대하고자 하는 물체에 가까이 있는 렌즈로, 물체를 크게 확대하는 역할을 하지요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