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LPS의 유전자 분석까지 마쳤다. 보이틀러 교수는 “수행비서까지 연구를 도울 정도로 모두가 목표를 향해 똘똘 뭉쳤다”며 “오랜 연구에서 성과를 얻었을 때 느낀 만족감은 그 어떤 순간보다도 크다”고 강조했다. 그의 수행비서 베시 레이턴씨는 31년째 보이틀러 교수의 업무지원과 관리를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실에서 볼 법한 물건들이 왜 산림과학원에 있는 걸까. 놀랍게도, 이들 재료는 모두 나무에서 왔다. 바로 나노셀룰로오스다. 나노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나노(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분해한 천연 고분자다.“2000년대 중반에 전세계 제지업계가 앞으로 어떻게 하면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자랑하는 학술지 ‘네이처’에 도전했다. 우여곡절을 거친 후에, 두 사람의 논문은 모두 ‘네이처’에 게재되었다. 프라이스의 ‘선택과 공분산’은 1970년 8월, 해밀턴의 ‘진화 모델에서 이기적 행동과 악의적 행동’은 그해 12월에 출판되었다. 프라이스 방정식이 완벽하게 새로운 성과임을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았는데! 평소에 탄 고기도 안 먹고 꼬박꼬박 건강검진도 받았어요. 가족 친지들도 모두 건강한데 이럴 수가 있습니까?”앞으로의 치료 계획을 한참 설명하고 있는데 불쑥 환자가 질문을 던졌다. 젊은 나이에 대기업 간부 직함을 달 정도로 열심히, 건강하게 살아온 환자였다. 그의 질문은 암이라는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살아 있는 효모에 대한 식품생명공학자들의 애정 어린 연구가 만나 가까운 미래에는 모두가 맛보고 싶어 하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성운들의 대략적인 위치 정도만 판단할 수 있었지요.망원경으로 본 두 성운이 모두 밝고 선명해서 지구와 가깝게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하지만 실제로 고양이 발 성운은 지구로부터 5500광년, 랍스터 성운은 8000광년 정도 떨어져 있답니다.이 성운들에는 새롭게 태어난 별들과 성간 가스, 먼지 구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2개 팀이 9회 동안 경기하며 점수를 얻는 스포츠예요. 타자가 공을 친 후 ●진루해 3루를 모두 돌면 1점을 획득해요. 타자는 스트라이크를 3번 당하거나 타자가 친 공이 땅에 닿기 전 포수가 공을 잡으면 아웃됩니다.●진루 : 야구에서 주자가 앞 베이스(누)로 진출하는 것을 말한다.야구 장비 : 배트,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타고 도시를 돌아다니면 시대마다 그 모습이 모두 다를 거예요. 도시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해왔기 때문이죠. 무엇이, 그리고 어떻게 도시를 바꾸는 걸까요?8000년 동안 변하고 또 변한 ‘도시’도시는 정치와 경제, 교통, 그리고 문화 등이 발달한 곳이에요. 5000년 전 오늘날의 이라크 지역인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군을 지난 2월 서울에서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들어봤어요.△김동현 군(왼쪽)과 정재훈 군.Q모두 학교가 다른데 팀은 어떻게 만들어진 건가요?장재훈 저희 팀원들이 원래부터 알던 사이는 아니에요.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관심분야가 비슷한 친구들을 만나 팀을 만들었죠. 강원, 부산, 광주 등 전국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사인 함수나 코사인 함수를 기본 함수로 써서 계산이 불편했다. 신호에 들어있는 정보를 모두 변환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분까지 계산해야 했다. 또, 나뉜 주파수가 어느 시간대에서 왔는지 모른다는 단점도 있다. 1909년 헝가리의 수학자 얼프레드 허르는 이를 보완해 필요한 부분만 변환할 수 있는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