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오후 3시 이전에 공주가 돌아올 수도 있어요. 오후 3시 이전에 건 쪽과 이후에 건 쪽 모두 이길 확률은 똑같아요. 확률을 언제 계산하더라도 말이에요. 정 불안하다면 오후 3시 이전에 공주가 돌아온다는 쪽에 걸고 내기가 끝날 때까지 낮잠을 자는 건 어때요? 알라딘의 주장 후회하지 않으려면 더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기르기 위해서는 수학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은 모두 기본적인 수학을 배워야 합니다. 문과 출신이든 이과 출신이든 수학 수업을 들어야 하지요. 미분적분학, 선형대수학, 확률은 모든 생도들이 배우는 공통 과목입니다.수학적 사고가 어떻게 이용되는 건가요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거래한다. 비트코인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돈을 송신한 사람과 수신한 사람의 정보가 모두 암호화돼 식별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해커가 누가 보낸 돈인지를 파악하려면 사용자들에게 서로 다른 비트코인 주소를 부여해야 한다. 일종의 가상계좌 같은 것이다. 그래야 돈을 보낸 사람에게 정확한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루면 비로소 채취하는 것이다. 염전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바둑판 모양의 땅에서 모두 소금을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결정지에서만 소금을 채취한다. 소금이 자연스레 흘러갈 수 있도록 첫 번째 증발지에서 결정지까지 약 5° 정도의 경사가 나도록 만들었다. 증발지를 거치면서 갯벌에 함유된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았는데! 평소에 탄 고기도 안 먹고 꼬박꼬박 건강검진도 받았어요. 가족 친지들도 모두 건강한데 이럴 수가 있습니까?”앞으로의 치료 계획을 한참 설명하고 있는데 불쑥 환자가 질문을 던졌다. 젊은 나이에 대기업 간부 직함을 달 정도로 열심히, 건강하게 살아온 환자였다. 그의 질문은 암이라는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군을 지난 2월 서울에서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들어봤어요.△김동현 군(왼쪽)과 정재훈 군.Q모두 학교가 다른데 팀은 어떻게 만들어진 건가요?장재훈 저희 팀원들이 원래부터 알던 사이는 아니에요.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관심분야가 비슷한 친구들을 만나 팀을 만들었죠. 강원, 부산, 광주 등 전국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1번째부터 다시 첫 번째와 같은 패턴으로 공이 이동한다는 뜻이다. 학생들은 공의 패턴을 모두 찾아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로 나타냈다.끝나지 않은 수학자의 시간이렇게 배열하는 법을 일반화한 공식으로 만들어 프로그래밍했다. 컴퓨터를 이용하자 공의 개수가 많을 때도, 주기가 매우 큰 ... ...
- [포토 뉴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태양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필요한 연구에 제한이 있었다. 신라이트를 구성하는 149개의 램프가 뿜어내는 빛은 모두 가로세로 각각 20cm의 작은 공간에 모인다. 최대 출력은 320kW로 지구 표면에 닿는 태양광의 1만 배에 해당하는 세기다. 온도는 최대 3000°C까지 올라간다. 이런 극한의 온도가 필요한 이유는 미래의 청정에너지로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탄소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나노선), 퀀텀닷(양자점) 등 들어봤을 법한 나노물질들을 모두 이 방식으로 만든다.물론 손으로 쌓고 조립하는 것은 아니다. 식물 씨앗을 심고 물과 햇빛을 줘 키우는 것처럼, 나노물질이 자라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방식이다.퀀텀닷을 예로 들어보자. 퀀텀닷은 스스로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성립한다. 자식은 부모를 쏙 빼 닮는다고, 이를테면 키가 180cm인 사람이 낳은 자식들은 모두 키가 180cm가 된다고 가정하자는 것이다. 만약 자식들끼리도 조금씩 다르다면, 형질의 평균값 변화는 자연선택에 의한 변화뿐만 아니라 유전정보 전달에 의한 변화도 포함한다. 온전한 형태의 프라이스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