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별들이 나타나 가을이 왔음을 알린다. 북극에 가장 가까운 1등성 카펠라는 북동쪽
하늘
에 보이기 시작했고 북두칠성은 그 반대편에서 아래로 잠기고 있다.이달의 행성금성/사자자리에 있게 되는데 초순경에는 아침 여명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하순경에는 -4.3등급의 밝기로 보일 것이다.화성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가능하다.달에서
하늘
을 보는 것을 상상해 보자. 태양이 빛나는 곳을 제외한 모든
하늘
은 밤도 낮도 구별없이 수 많은 별들로 덮여있다. 별들은 반짝거리지 않고 오직 찬란한 빛을 쏟아낸다. 저쪽 월평선에서는 크고 푸른 영롱한 지구가 무수한 생을 담고 소리없이 떠오른다. 들리는 것은 오직 자신의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않으므로 순간 포착이 가장 중요하다.식이 끝날 무렵부터는 전보다 구름이 적었고 점차
하늘
이 개어 준비했던 예상 데이터대로 촬영할 수 있었다. 개기일식이 끝나갈 무렵에는 주변의 관광객들이 하나 둘 자리를 떠나고 기념촬영 등을 하고 있었다.태양이 제모습을 찾음에 따라 더운 열기가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것(고층)은 예술의 문제라기 보다 정의와 위생 그리고 순환교통의 문제다. 우리가
하늘
높이 올라가지 않고 옆으로 분산해야 하는 이유는 주변의 조그만 대지소유자들의 소유권리를 보호하고 햇빛과 공기를 독점하지 않으며 고층건물의 신축으로 인해 주변지역 땅값이 뛰지못하게 하기 위한 것 ... ...
그리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똑바로 서 있는 것이 아니라 안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놀랍게도 이 기둥들은
하늘
위 17km 지점에서 한 정점으로 수렴되는 피라미드구조를 갖고 있다 한다. 또 각 기둥의 사이도 일정하지 않고 조금씩 차이가 나며, 기저부분도 그 중심부분이 약 30cm 정도 불룩하게 솟아 있다.한마디로 이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하자.철학자들도 이 논쟁에 오래 전부터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가만히 앉아서
하늘
과 땅을 보고 아울러 자신들이 경험한 것을 총동원, '지구의 나이는 무한하다'는 다소 기대섞인 결론에 이르렀다.지구연령을 제일 짧게 잡은 사람은 아일랜드의 대주교 어셔였다. 그는 1654년 히브리어로 된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탐사작업을 벌였다. 그는 이 행성을 '행성 X'(Planet X)로 명명 했다. 그러나 그가 탐색한
하늘
의 방향에는 별이 빽빽이 들어서 있는 은하수가 있었으므로 흐리고 작은 행성을 가려내기란 이만저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결국 로웰은 발견에 실패하고 일생을 마쳤다.로웰이 죽은지 14년 후인 1930년 2월1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것을 가지기 위해서 발버둥치는 사람들이 있다. 모든 사람들은 두개의 탑 위에서
하늘
의 별을 따기 위해 버둥대는데 한쪽은 미국을 상징하는 탑이고 다른 한쪽은 일본을 상징했다. 그리고 미국을 상징하는 탑의 높이는 일본보다 약간 높았다. 그런데 미국탑위에 있는 사람들은 제각기 별을 따기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특유의 잘 발달된 심장 및 순환계 호흡계 등을 갖추고 있었다고 생각된다.파충류에서
하늘
을 나는 조류로 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변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비늘이 깃털로 바뀌고, 발이 날개로 변하고, 근육 신경조직 순환계 호흡계 등이 날기에 알맞도록 변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단계적인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줄을 그으며 나타난다. 이 유성군의 정확한 복사점은 감마(γ)별 근처이기 때문에 이 별이
하늘
높이 올라오는 자정 이후에야 환상적인 유성우를 구경할 수 있다. 새벽이 가까와지면서 복사점은 더 높이 올라가고 유성우의 양은 점차 많아지게 된다. 이 유성군의 유성들은 한마디로 장관 그 자체다.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