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71%를 점하고 있는 해양을 탐사하는 수단으로는 수상의 해양조사선, 수중의 잠수정 및
하늘
의 비행체가 이용된다. 이중 해양조사선은 움직이는 연구소라고도 불리는데 해양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학술관측을 비롯해 해상기상 자원탐사 등의 실용적인 관측을 수행한다. 특히 선박이란 이점을 ... ...
하나그림 홈서브 평생비서 오!K 마이글벗+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선정해 별도로 짤막하게 소개해본다.이외에 추천된 소프트웨어로는
하늘
그래픽에디터(
하늘
소) 따르릉2.0(한메소프트) 백신3.52(안철수) 클라이(마이크로 소프트웨어) 좋은날(별빛컴퓨팅) 한글박사프로(소프트라인) 캡스터디(삼성전자) 슈퍼새션2.5(황건순) 호롱불(BBS프로그램) 등이 있었다.■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보인다. 그 아래 동쪽 지평선에는 사자자리의 머리부분이 떠오르고 있다. 남서쪽
하늘
에는 가을의 길잡이 페가수스 사각형이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비스듬히 서 있다. 여름 별들은 이제 서서히 지평선 아래로 잠기고 있다.이달의 유성우쌍둥이자리 유성군은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밝고 풍부한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급격히 증가, 지구가 온난화됐다는 것들이다.87년에는 이리듐의 발생원인을
하늘
이 아니라 땅에서 찾는 설도 등장했다. 영국의 하람박사는 이리듐이 장기간에 걸친 화산활동에 의해 분출됐다는 설도 발표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알바레스 부자의 이론이 가장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최초의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런 공룡들이 땅위를 어슬렁거리며 다녔고 때로는 천지를 뒤흔들며 싸움을 벌였다.
하늘
에서는 익룡이 천둥같은 소리를 내고 또한 바다에서는 브론토사우루스(Brontosaurus, 일명 뇌룡)가 파도를 거칠게 일으켰다.그러나 중생대 말기인 백악기에 이르자 기후가 변동, 눈이 오고 얼음이 어는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폭풍우가 나타난다. 가장 가까운 예가 1966년 미국에서 관측된 것인데 이때 유성이 비처럼
하늘
에서 쏟아져 내렸다고 한다. 1분에 1천개 이상이 관측되기도 했다. 이 혜성이 돌아오는 1999년엔 또 다른 장관이 펼쳐질 것이다. 그러나 좀 걱정이 되는 것은 이 혜성이 1886년부터 1966년까지는 한번도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우주공간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우주쓰레기는 인공위성의 활동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3백50만개가 넘는 우주쓰레기의 실상과 대책은?구약성 ... 후예들이 무책임한 행위로 스타워스를 방불케 하며 우주로 인공위성을 난사하는 것에
하늘
의 진노가 언제 있을지 두렵기만 하다 ... ...
대규모 탐색 작업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1백광년 이내에 있는 1천개의 별들에 대한 제법 세밀한 관측이 이루어진다. 둘째,
하늘
전역을 폭넓게 조사하는 것이다.서구에 있는 여러개의 대형 천체망원경들이 이 탐색작업에 이용될 전망이다. 바로 여기에 소련의 협조는 더 큰 효과를 가져온다. 전파망원경들이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만이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저항은 어느 시대든지 있어 왔다. 오토코드를 본 전문프로그래머들의 가슴은 뜨끔했다.
하늘
의 기술이 땅에 내려오는 것을 막아야만 했다. 그러나 컴퓨터사용의 폭발적인 요구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기술의 도입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었다. 신전을 지키며 버텨온 프로그래머는 신전을 떠나든지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까이 접근해 보이기도 하고 달과 조우하기도 하는데, 이번달은 금성과 목성이 동쪽
하늘
에서 사자자리의 α(레굴루스)별과 랑데부를 하며, 초순에는 달까지 합세해 장관을 이룬다. 카메라에 ISO100정도의 필름을 넣고 일출 3, 40분전 조리개 2.8이나 4에서 3~5초 노출로 촬영하면 멋진 사진을 얻을 수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