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지문이나 유전자 등을 범죄수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
하늘
아래 똑같은 것은 없다'는 평범한 사실에서 출발한다. 목소리도 마찬가지. 사람의 목소리는 개인마다 고유한 특색을 갖고 있어 목소리를 음성분석기에 넣으면 스피치 스펙트럼(speech spectrum)이란 그래프가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혈장의 보존기간이 1년으로 늘어나 알부민제제의 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하늘
높은줄 모르는 알부민 가격도 추락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그러면 성분화한 각 혈액성분은 어떤 용도로 쓰이게 될까. 먼저 적혈구부터 알아보자. 가장 대표적인 적혈구제제는 농축적혈구다. 이것은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인쇄기술과 루터의 성경번역이 한 역사의 종지부를 기록했듯이 새로운 기술은
하늘
의 컴퓨터를 지상으로 끌어 버렸다. 그리고 이 모두는 과학자들의 피나는 노력에도 기인하겠지만 자본의 자기증식과정에서 생기는 필연적인 경쟁의 결과이기도 하다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요약한다면 공이 정면에서 받는 공기를 땅방향으로 밀어 붙이고 있으므로 그 반작용으로
하늘
방향의 힘을 받는다는 것이다.단순히 아래로 향하는 공기에 대한 반발력만으로 공이 타자 앞에서 솟아오른다면 3류투수라도 그런 공쯤은 간단히 던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력에 역행하는 일이 그렇게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때문이다.희랍 시대에 와서는 토성을 크로누스(Cronus)라 불렀다. 크로누스는 지구와
하늘
의 아들신 이름. 그는 그의 누이 레아(Rhea)와 결혼해 아이를 다섯 낳았다. 그는 아주 사악한 기질을 가지고 있었는데, 자기 아이들을 경쟁자라고 여기고 그들을 모두 입으로 삼켜버렸다. 그후 여섯번째 아이인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
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학비와 생활비 전액이 보장된다는 유학조건은 교육경비가 사회적 지출이 돼야 한다거나 왜 조국을 떠나야만 하는가란 질문을 회피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봉건관료제의 전통 탓인지 학문하는 사람을 신격화하는 우리네 사고방식 안에서는 어떤 유학생이든 자신이 하는 일이 편협한 개별과학의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109번과 110번 별 주위에 놓여 있지만 다른 봄철 별자리에는 은하들이 거의 없다.봄철의 밤
하늘
은 은하들로 가득차 있다.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운 먼 거리를 적게는 수백만년에서 수천만년을 달려온 빛들임을 생각해 본다면, 그 희미한 작은 빛은 우주 역사의 산증인인 셈이다. 은하관측은 우리 삶의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버렸고, 오른쪽 가장자리의 작은 물체 하나만 갑자기 다가오는가 싶더니 스쳐지나 동쪽
하늘
로 뒤뚱거리면서 사라졌다. 이 사건은 사진촬영된 케이스중 한 사례다.한국 UFO연구협회(전화 214-2060)에서는 UFO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활동과 UFO목격사례를 수집하고 있으니 관심있는 분은 연락바람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하여금 지구가 모든 천체 운동의 중심이 아니라는 신념을 심어준 천체이기도 하다(밤
하늘
에서 목성을 찾는 법은 과학동아 1991년 3월호 참조).작은 망원경을 사용하면 4개의 큰 위성뿐만 아니라 아주 찬란한 색깔을 가진 표면을 관측할 수 있다. 목성 표면은 적도에 평행한 희거나 적갈색의 밝은 띠와 ... ...
4월의 밤
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자신의 공간운동으로 인해 위치가 약간씩 변한다. 별이 그 공간운동으로 인해
하늘
에서 1년 동안 움직에게 되는 거리를 고유운동이라고 말한다. 대개의 항성은 1년에 0.1초 정도 움직이며 1초 이상 움직이는 별은 2백개 정도이다. 고유운동이 가장 큰 별은 땅꾼자리에 있는 바나드(Banard)별로 1년에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