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감소 · 손실, 요중 케톤체의 감소, 부신 피질 기능의 정상화, 파라아미노벤조산 아세틸화
능력
의 상승 내지 정상화 등을 볼 수 있다조혈장기에 주는 영향이나 저혈당 증세가 나타날 염려가 없고 공복시나 야간의 저혈당 증세나 국소알레르기 등의 부작용도 없다 분자 내에 2개 이상 짝수개의 키랄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등도 만들어냈다. 이런 연구결과들의 활용범위는 무궁무진하다. 현재보다 수만배 처리
능력
이 뛰어난 슈퍼컴퓨터를 만들고 환경친화형 수소자동차에 장착될 연료통을 개발하는 데 밑거름이 된다.이런 세계적인 연구로 그는 1997년 여성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국제 과학 학술지인 ‘배위 화학 리뷰’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는 없는 노릇이다.염명천 산업자원부 과장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잉여생산
능력
이 제한돼 있어 5-10년후 석유 수급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부 수소에너지개발사업단 김종원 단장도 “2014년부터 원유의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 안에 진짜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핵융합이 이 조건에 맞다고 말한다. 그 조건은 미래 에너지 소비량을 충족시킬 만큼 생산
능력
이 높아야 하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21세기말 세계 인구는 80억-1백20억명으로 늘 전망이다. 인구증가와 함께 중국과 같은 신흥국가의 발전으로 21세기말 에너지 요구량은 현재보다 ... ...
사이버 시대 마음이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일상의 한부분이 된 인터넷. 현대인은 인터넷을 통해 울고, 웃고, 떠든다. 도대체 인터넷이 뭐길래 우리 마음을 이토록 휘어잡는 것일까. 인터넷 기업은 네 ... 비밀을 푼다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5. 검색
능력
이 경쟁력이다 6. 재미가 두뇌를 ... ...
2. 눈의 움직임이 마음의 비밀을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번번이 새로운 정보나 아이콘에 끌려 전혀 엉뚱한 웹사이트에서 방황하는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왜 우리는 사이버 공간에서 방황할까? 인지심리학자들은 이 ... 비밀을 푼다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5. 검색
능력
이 경쟁력이다 6. 재미가 두뇌를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최근 정보통신부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인구 3천만명 중 54.1%가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인구 2명당 1명꼴로 인터넷에 ... 마음의 비밀을 푼다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5. 검색
능력
이 경쟁력이다 6. 재미가 두뇌를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아폴로 13호 역시 사고를 극복하고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면서 우주 비행사들의 위기 대처
능력
과 용맹성이 인정돼 ‘성공적인 실패’ 라는 평가를 받았다.아폴로 11호와 12호는 인간의 달 착륙 자체가 목표였다. 하지만 아폴로 15호부터는 순전히 과학적인 목적을 위해 달 탐사가 이뤄졌다. 달의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전에 재구성하는 기능이 자는 동안 향상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학습
능력
을 키우기 위해 잠자는 시간을 무조건 줄이기보다는 자신에게 적절한 시간동안 숙면을 취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권하고 싶다.‘미인은 잠꾸러기’ 라는 말이 있다. 미 국립정신건강연구소 그리거 해슬러 ... ...
폭탄 찾는 나방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냄새를 2백m나 떨어진 곳에서 맡을 정도로 후각이 뛰어나다. 달리 박사는 이러한 나방의
능력
을 이용했다. 폭탄 냄새를 맡은 나방의 뇌에서 독특한 뇌파가 나왔고 이 뇌파를 측정해 주위에 폭탄이 있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개에게 밥을 주기 전 종소리를 들려준 뒤 종소리만 내도 개가 침을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