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신마비 환자가 일어서는 기적 일어날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고됐다. 올해 6월에는 손상된 척수에 슈반세포를 직접 이식해 신경세포의 재생
능력
을 증가시키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또 슈반세포를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만들어내는 방식도 개발됐다.그러나 신경이 손상된 정확한 부위로 성장인자를 보내기 어렵고, 보내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되거나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넓은 온도범위에서 가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열전도율도 물의 몇 배나 되어 냉각
능력
이 우수하다나트륨 증기방전(蒸氣放電)으로 노란빛을 내는 열음극방전관(熱陰極放電管) 5,900Å 가까운 빛깔만을 내므로 황색을 띤다램프는 외관(外管)과 내관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는 진공이며 내관의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덧붙이는 과정이 지금도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인류의 지식은 점점 그
능력
과 범위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진화해가고 있다. 그렇다면 인류가 공동 구축하는 지구촌가상두뇌(Virtual Global Brain)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코스모피디아가 활용되는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그 모습을 ... ...
벌집 쾌적 냉방 비밀은 여왕벌의 바람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한 종류의 유전자만을 가진 수컷과 교미시켜 만든 군집의 경우 벌집의 온도조절
능력
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정온도에서 한꺼번에 날개짓을 시작하거나 멈춰 내부온도가 오르락내리락하기 때문이다.이번 연구를 이끈 시드니대 쥴리아 존스는 “일벌의 유전적 다양성 확보는 여왕벌이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변화에 반응이 느리다. 바닷물은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워지지 않고 열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이 크기 때문이다. 대기와 바닷물을 비교해보면 지구 대기가 간직하고 있는 전체 열은 바닷물 표면에서 수m에 불과하다고 한다. 또한 1년간 지구가 받는 태양열로 바닷물의 온도는 고작 1℃밖에 오르지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없다. 인간처럼 손이 있어 불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도 없는 개에게는 불을 뿜을 수 있는
능력
은 그저 ‘쇼’ 일 뿐이다.세상이 터무니없다고 제쳐버린 ‘상상 속 동물’ 들이 실존한다고 확신하며 그들을 좇았던 ‘그래도 그들은 살아있다’ 의 저자 로타르 프렌츠조차 불을 내뿜는 동물에 관해선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뇌혈관성 치매의 가장 치명적인 습관이다.소극적인 생활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을 떨어뜨리고 소외감을 느끼게 하는데, 이런 것도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운동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머리 손상이 치매의 발병과 관련이 ... ...
동물도 눈치로 단어 배운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단어습득력은 인간의 고유한 언어학습
능력
이 아니라 동물도 갖고 있는 일반적인 인지
능력
임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즉 사물이 이름을 가질 수 있음을 동물도 깨달아 임의의 음향 패턴, 즉 발음된 단어를 특정 대상에 연결시킨다는 것이다. 듣기가 말하기보다 먼저 진화한 셈이다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바로 이같은 특성을 잘 활용하고 있다. 이 미생물의 균주는 식물이 가진 방어
능력
을 활성화해 식물 스스로 병 저항성을 갖게 하는 한편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도 지녔다.개발비는 화학농약의 1/10 수준 지금까지 우리의 농업은 화학농약과 비료를 사용한 생산성 향상에만 초점을 맞춰왔다. 1960-197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것이다. 그래서 현재 가로수로 많이 쓰이는 포플러에 중금속 저항 유전자를 삽입해 정화
능력
을 테스트 중이다. 하지만 상용화되기까지는 최소 5년 정도의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식물이 곤충의 먹이로서 해롭지는 않은지, 중금속 저항 유전자가 대를 거쳐도 안정한지 등 안전성 테스트를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