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전부 설명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이제는 “과학기술, 음악, 문학
능력
이 생존과 무슨 상관이 있냐”는 반문이 예전만큼 당당해보이지 않는다.창조성과 진화를 생각하다보니 문학으로 다시 돌아왔다. 유치하기 짝이 없는 옛날 연애편지를 들춰본 적이 있는가? 닭살이 돋다가도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주도하고 있다. 서 교수는 이화여대 객원교수로 계셔 만날 기회가 많았고 추진력과 연구
능력
이 탁월한 여성과학자로서 내가 앞으로 꼭 닮고싶은 분이다.크림 프로젝트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아주 높은 에너지를 가진 초고에너지 우주입자를 찾는 것이다. 여러 종류의 원자핵으로 이뤄진 초고에너지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세포로 직접 분화할 것이라는 가설. 조혈줄기세포 자체가 원래 모든 장기로 분화하는
능력
이 있다면 만능분화 가설과 같은 의미가 될 수 있다.성체줄기세포 연구의 역사100여년 전 몇몇 의사들은 빈혈이나 백혈병 환자에게 골수를 먹였다. 당시에도 골수안에 적혈구와 백혈구를 만들어낼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 없이 살아남지 못하고 죽는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에게 남아있는 재생
능력
을 복구시키든지 아니면 세포가 죽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세울 수 있다. 이런 전략은 특히 수년에 걸쳐 병이 서서히 진행되는 퇴행성 뇌질환의 경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미국 솔크연구소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지만 벌써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닭은 후각
능력
이 미미한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이번 게놈을 분석한 결과 후각 유전자가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게놈 분석 연구가 진행되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닭에 대한 지식에 수정이 불가피할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구체화시켜 가시화하는 것, 이로부터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 사건들을 결합하는
능력
, 이것이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의 세 번째 요소다.고정관념을 버리다빛과 에테르의 문제를 고민하던 사람이 아인슈타인뿐인 것은 아니었다. 유럽의 유수한 물리학자들이 이와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정신병은 어떻게 치료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감정을 극복하는
능력
이 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슬픈 감정이 자신을 압도할 때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우울증의 신호라고 볼 수 있다.우울증은 일종의 질환이며, 대개는 약물로 성공적으로 치료된다. ... ...
알코올 펑펑 쏟아내는 박테리아 나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국내 연구진이 생명체의 게놈 정보를 해독한 후 이 정보로 알코올 생산
능력
을 극대화한 ‘슈퍼알코올박테리아’를 탄생시켰다.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 알코올 생산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54개 유전자를 가려냄으로써 이 세균의 알코올 생산
능력
이 탁월한 이유를 밝혀냈다 ... ...
글 분석해 치매 진단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풍부하게 사용됐다.이 결과는 치매의 초기 증상의 하나가 적절한 단어를 떠올리는
능력
이 저하되는 것이라는 사실에 부합한다. 즉 치매로 진입하는 사람들은 어휘력이 떨어짐에 따라 적당한 단어가 금방 떠오르지 않고 ‘혀끝에서 맴도는’ 안타까운 경험을 하게 된다.그러나 문장 구성력은 병이 더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보일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을 정도로 양자론을 배척했다. 위대한 아인슈타인이 과연
능력
부족으로 양자론을 거부했을까.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의 성공모델이 너무나도 좋았기 때문에 이와 논리적 모순이 있는 양자론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살고 있는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