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11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어난 계절에 따라 생기는 질병들... 봄에 태어났다면 정신질환 위험
과학동아
l
2016.01.01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농도감소는 태아의 뇌 발달에 악영향이다. 산모가 낮에 햇
빛
을 적게 쬐면 야간 심부최저체온이 2℃가량 높아지는데, 이 또한 좋지 않은 영향이다. 태아의 뉴런에 세포자살을 촉진시켜 해마 부피를 줄이고, 뉴런의 민감성을 높인다. 폴 박사는 임신 중기에 겨울을 맞는 ... ...
정전기 이용해 태양전지 효율 높였다
2015.12.30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태양
빛
을 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전지는 표면에 태양
빛
을 많이 받을수록 효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태양전지에 들어가는 전극이 투명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전극을 가능한 미세하게 인쇄해서 표면을 가리지 않아야 유리하다. 기존에는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극을 ... ...
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30
같은 원리를 이용해 여러 장치를 만들 수 있어요.
빛
센서를 이용해 방에 들어오는 햇
빛
이 너무 강하면 커튼을 자동으로 치게 만들 수 있고, 소리 센서를 이용해 박수로 조명을 켜고 끌 수도 있지요. 물론 이 장치들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도 움직일 수 있답니다. 이경미 과장님은 이런 ... ...
빌 게이츠가 마신 물이 사실은 ‘배설물’?
2015.12.29
발생장치를 만들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필름은 자외선부터 중적외선까지 넓은 영역의
빛
을 91%까지 흡수했다. 또 태양광에서 증기를 생성하는 효율은 최대 57%로 기존 금속 입자를 활용한 장치(24%)보다 효율이 2배가량 높았다. 김 교수는 “대면적으로 제작하면, 1㎡ 넓이의 필름에서 시간당 최대 ... ...
크리스마스에도 산불, 美 캘리포니아 주에 항공 레이저 떴다
2015.12.29
분광분석 기술을 활용했다.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에서 숲을 향해 레이저를 쏘고 반사된
빛
을 분석해 나무 꼭대기의 수분 양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팀은 위성관측 자료를 함께 활용해 나무와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도 살폈다. 그 결과 약 5800만 그루의 큰 나무들이 가뭄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 ...
식물은 햇
빛
없이도 자랄 수 있다, O일까 X일까
2015.12.28
새 원리를 확인해 ‘셀(Cell)’ 24일 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다른 식물에 가려
빛
의 양이 줄어든 식물은 적색에 민감한 색소인 ‘피토크롬’으로 적색광을 감지한 뒤 생장호르몬인 ‘옥신’의 양을 늘려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 ...
‘기후의 수호자’부터 ‘명왕성 사냥꾼’까지
2015.12.27
네이처 제공 ‘네이처’는 올해를
빛
낸 과학계 인물 10명을 선정했다. 24일 자 네이처 표지는 ‘2015년을
빛
낸 과학자 10인(Nature's 10)’을 암시하는 숫자 10 ... 커지는 등 유전적인 변화가 일어났다는 사실도 밝혔다. 네이처가 선정한 ‘올해를
빛
낸 과학자 10인’.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 ... ...
암 진행과 전이 여부, 30분 안에 동시 진단 가능해졌다
2015.12.27
나뭇가지 모양의 DNA 나노구조체를 만들었다. 구조체 끝에는 마이크로 RNA를 만났을 때
빛
을 내는 형광 입자체를 붙여 확인이 쉽게 했다. 엄 교수는 “검사자 몸에서 떼어낸 조직이나 피로 진단하는 방식이어서 임상 시험이 까다롭지 않다”며 “연구자금이 뒷받침된다면 이르면 5년 뒤 의료 ... ...
[책의 향기]인간을 위로하는 마법의 액체… 술을 해독하다
동아일보
l
2015.12.26
효모가 살아있는 생물이라는 주장을 마치 사이비 과학처럼 여겼다. 하지만 물리학에서
빛
의 입자론과 파동론 논쟁처럼 효모 논쟁도 두 시각이 모두 옳았음이 결국 드러났다. 살아있는 효모 세포 안에 들어 있는 특정한 화학물질이 발효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효모 세포 안 ... ...
[크리스마스에는 과학을④] 루돌프 사슴? 순록? 루돌프의 오해와 진실
2015.12.24
또 2013년에는 순록의 눈 안쪽에 있는 반사판의 단백질 구조가 겨울에 더 촘촘해져
빛
을 잘 볼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나다니엘 도미니 미국 다트머스대 교수는 어린이 과학 저널 ‘어린이를 위한 개척지(Frotiers for young minds)’ 21일자에 순록이 자외선 영역까지 일부 볼 수 있어 ‘안개 낀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