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포 기억 조절 가까웠다
2015.09.29
간의 신호 전달 세기가 약해지는 ‘장기 시냅스 저하’가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했다.
빛
으로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신호 전달 세기가 떨어지지 않게 했더니 공포 반응이 과도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은 생쥐는 약한 공포를 학습시켜도 신호 ... ...
일본판 황우석 사건…과학자들이 마침표 찍다
2015.09.29
갖는 등의 변화가 있을 경우 세포가 녹색
빛
을 내도록 유전자를 조작했다. 그 결과,
빛
을 발하는 세포가 간혹 발견되긴 했지만 죽기 전에 발광하는 ‘자가형광’이라는 현상일 뿐 오보카타 씨의 주장과는 달리 만능성을 획득해 발광한 세포는 없었다. 더구나 연구팀은 오보카타 씨가 만들었다고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비트바터스란트대 제공 ○ PLUS - 기원을 흔드는 또다른 문제들 호모 날레디 때문에
빛
이 바랬지만, 최근 그에 못지 않게 혹은 그 이상으로 기존의 ‘정설’을 위협하는 중요한 고인류학 연구 성과가 줄을 잇고 있다. 두 가지만 소개한다. 1. 세계로 확산한 최초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가 아닐 ... ...
잠이 보약… 코골이-근육통땐 옆으로 구부려 자면 ‘꿀잠’
동아일보
l
2015.09.25
누워 TV 또는 스마트폰을 보다 잠드는 습관은 당장 고쳐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리와
빛
(화면)은 집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뇌를 자극해 깊은 잠에 빠지는 걸 방해하기 때문이다. 오 교수는 “자기 전에는 최대한 뇌를 편안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침대 위에서는 책도 안 보는 게 ... ...
[가을, 충청으로 떠나다]3D 프린팅·아빠와 드론 날리기 체험
동아일보
l
2015.09.24
대전시립미술관 강당에서는 2004년 노벨화학상 수상자가 특별강연을 한다. 시민광장과 한
빛
탑광장에서는 사이언스 콘서트와 골든벨 퀴즈대회가 열리고, 원도심에서도 과학프리마켓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행사 기간에는 정부대전청사역과 대전역,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오전 10시부터 ... ...
혈관 찾기 도사 ‘모기’의 신비 풀렸다
2015.09.23
정확히 침을 꽂는 비결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내 눈길을 끌고 있다. 숙련된 간호사도 밝은
빛
아래서야 찾을 수 있는 혈관을 단번에 찾아내는 모기의 신비가 한 꺼풀 벗겨진 셈이다. 안용준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와 권형욱 서울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교수팀은 모기 주둥이에 달린 뾰족한 ... ...
머리에
빛
쪼여 알츠하이머병 예방한다
2015.09.21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치료법은 약물을 주사한 다음 머리에 강한
빛
을 쬐어주면 되므로 치료가 간단하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추가동물실험을 거쳐 임상실험을 통과하면 알츠하이머병은 물론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 ...
과학기술계에 ‘어벤져스’가 등장했다
2015.09.20
매우 얇아 쉽게 착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얇은 망토를 만들기 위해
빛
을 산란시키는 안테나를 달았다. 이론대로라면 기존에 여러차례 소개된 바 있는 부피가 큰 투명망토의 한계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사실을 확인했다. 분리한 소자는 제작 공정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뿐 아니라 필요한
빛
의 종류를 선택해 흡수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미래형 스마트 의복이나 의료용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우수한 광전특성을 가진 티엠디를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사적인 편지에서 “따뜻한 작은 연못에서 암모니아와 인산염,
빛
, 열, 전기 등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생명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즉 화학적 조성에서 생물체가 창조됐다. 훗날 ‘따뜻한 작은 연못 가설(warm little pond hypothesis)’로 불리게 된 다윈의 생각은 20세기 들어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